무리한 재난중계 보도에 온라인서 논란 확산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미국 언론이 앞다퉈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의 본토 상륙 소식을 전하는 가운데 방송 기자들의 과도한 생중계 경쟁을 두고 논란이 벌어졌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CNN 방송의 베테랑 기자인 빌 와이어는 이날 아침 어마가 상륙한 플로리다주 키 라르고에서 본부와 생중계로 연결해 현재 기상 상황을 전했다.

영상 속 와이어 기자는 몰아치는 비바람에 몸을 제대로 가누지도 못하는 모습이었으며 한번은 강풍에 거의 날아가다시피 했다.

영상이 온라인을 통해 전파되자 소셜미디어 등에선 꼭 그런 환경에 기자를 세워둬야 하느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대피 권고가 내려진 지역에서 정작 기자들이 방송을 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런 보도 행태는 다른 방송사도 마찬가지다.

MSNBC의 마리아나 아텐시오 기자는 마이애미의 대로변에 서서 쓰러진 나무를 가리키며 기상 소식을 전했다.

아텐시오 기자 주위의 가로수는 강풍을 견디지 못하고 구부러진 상황이어서 보는 이들까지 불안하게 했다.

이런 방식의 기상예보는 이미 수십년 전에 등장했다. CBS 뉴스 앵커였던 댄 래더가 1961년 허리케인 '칼라' 상륙 소식을 생중계한 것이 시초다.

래더가 폭우로 허리춤까지 차오른 물속에서 태풍 소식을 전하는 모습은 강한 인상을 남기며 그가 전국적인 앵커로 성장하는 발판이 됐다.

또한 방송사마다 이런 보도 방식을 앞다퉈 도입하는 계기가 됐다.

그러나 최근 들어 소셜미디어가 확산되면서 이런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보도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것이다.

이런 보도를 비평하는 쪽은 기자들이 정보 전달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지적하며 방송사들이 과도하게 선정적이고 불필요한 볼거리에 매달린다고 꼬집었다.

기자들도 위험성은 알지만 저마다의 이유가 있다는 입장이다.

MSNBC이 샘 챔피언 기자는 "밖이 어떤 상황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런 현장 영상이 허리케인의 위험성을 알리고 주민들이 대피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CBS에서 25년째 허리케인 보도를 한 마크 스트라스만 기자는 "방송은 시각적인 증거가 전부"라며 "사람들을 설득하려면 그들이 보는 것이 진짜이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난간에 의존해 밧줄을 붙잡고 방송하는 ABC방송 기자[AP=연합뉴스]

베테랑 기자들은 생명에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충분한 예비조치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자원이 부족한 지역방송 기자들은 위험한 상황에 부닥칠 수도 있다고 NYT는 전했다.

일례로 텍사스주 버몬트의 '12뉴스' 방송사 기자인 자크 매스는 지난달 25일 트위터에 허리케인 '하비'를 취재하면서 혼자 촬영, 프로듀싱, 편집을 전담했다고 폭로했다.

방송사 상사가 무리한 요구를 할 때 거절할 줄도 알아야 한다고 기자들은 입을 모았다.

CBS 방송 제휴사인 WKRG 리포터인 헤일리 미노그는 "이 일을 원하는 사람들이 수십만 명일 텐데 이 일을 하지 않으면 다른 누군가가 하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이 있다면 해야 한다는 압박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luci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