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회 기조연설서 국제사회에 '북핵공조'촉구…'평화적 해결' 원칙 견지 
한·미·일 정상 두달만에 만나 '압박공조'논의…한·미 정상회담도 추진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주 다자 정상외교의 본(本) 무대인 유엔 총회에 데뷔한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국제 안보체제를 위협하는 최대 이슈로 부상한 상황에서 한반도문제의 직접 당사국 정상인 문 대통령이 어떤 메시지와 행보를 보이느냐는 국제사회의 커다란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北 압박하며 '평화 콘셉트' 띄우기 

 문 대통령 유엔 데뷔전의 최대 하이라이트는 20일로 예정된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기조연설이다.

 일차적 초점은 북한의 6차 핵실험과 대륙간 탄도미사일(ICMB) 도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더 강한 압박'에 놓일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북한을 조속히 대화의 길로 이끌기 위해 국제사회가 안보리 결의 2375호를 충실히 이행하며 일치단결된 공조를 하도록 촉구하는 게 핵심 메시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연설문 전반을 관통하는 상위개념은 '평화'가 될 가능성이 크다. 북한의 도발을 확실히 응징하고 국제사회의 단합된 압박을 강조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대화와 협상 과정을 통해 '평화적 해결'을 달성해야 한다는게 문 대통령의 흔들림 없는 소신이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의 한반도 위기가 단순히 '안보이슈'가 아니라 '평화이슈'라는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첫 행보는 유엔 사무총장 접견 

 오늘(18일) 뉴욕에 도착하는 문 대통령의 첫 행보는 바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의 접견이다. 이는 한반도 위기의 해법을 모색하는데 있어 의미있는 계기점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강대국들이 주도하는 안보리와는 별개로 '세계의 대통령'인 유엔 사무총장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쓸 수 있는 '카드'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정부가 지난주 800만 달러 규모의 대북 인도주의 지원 방침을 발표한 것도 구테흐스 총장과의 접견에 앞서 유엔 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려는 차원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미·일 '삼각 압박공조' 강화

 한·미 정상회담 추진 = 북핵 문제와 맞물린 주요 관전포인트의 하나는 오는 20일로 예정된 한·미·일 정상회동이다. 세 정상이 만나는 것은 지난 7월7일 독일 함부르크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나 공동성명을 발표한 이후 두달여만이다.

 이에 따라 북한의 6차 핵실험과 ICBM 도발에 다른 한반도 위기상황을 평가하고 현행 압박과 제재의 수위를 더욱 높이는 방안이 조율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7월에 이어 또다시 공동의 입장표명을 도출해낼 경우 그 상징성과 함께 실효적 효과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미·일 3자 회동과 맞물려 한·미 정상회담도 추진되고 있다. 다만 대북 제재에 실질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중국, 러시아와는 이번에 접촉할 기회가 없을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