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핵심적인 소수? 하찮은 다수?


애들에게만 맡겨놓고 입시에 대해 모르는 부모들 많아
"우리 애가 다 알아서 할 거예요!" 라는 사고 위험천만

1897년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 1848~1923)는 80/20법칙을 발견했죠. 이것은 원인과 결과, 투입량과 산출량, 노력과 성과 사이에 일정한 불균형이 존재하여, 원인 가운데 20%가 결과의 80%를 도출하며, 투입량의 20%가 산출량의 80%를 만들어 내고, 전체 노력의 20%에서 전체 성과의 80%가 만들어진다는 법칙입니다. 뭐가 이렇게 복잡하냐고요? 간단히 말하자면 적은 비율의 원인, 투입량, 노력이 큰 비율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80/20법칙은 인간들의 삶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죠. 지구촌에 서부의 80%는 20%의 부자가 소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80%는 실업 상태나 불완전한 고용 상태의 사람들로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죠. 또한 대부분의 기업에서 20% 정도의 제품이 이익의 80%를 내고, 백화점의 하루 매상 중 80%는 그 백화점의 단골인 20%의 손님이 올리고, 20%의 능력 있는 조직원이 80%의 일을 하고 있으며, 투입한 업무시간의 20%가 전체 가치의 80%를 만들어 내게 됩니다.

범죄의 80%는 상습적인 범죄자 20%가 저지르며, 전체 운전자의 20%가 교통 사고의 80%를 일으킵니다. 하루 종일 걸려오는 전화 중의 80%는 전화를 자주 하는 친근한 20%가 하는 것이며, 교수가 한 시간 강의 동안에 전달한 지식의 80%를 이해하는 학생은 불과 20%밖에 안 됩니다. 옷을 입고 지내는 전체 시간의 80%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에, 가지고 있는 옷 중 20%의 옷만을 입게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숫자상으로 완벽하게 80%와 20%로 맞아 떨어지지는 않더라도, 거의 비슷한 비율을 보이면서 어느 시대,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나타나고 있는 현상들입니다.

이러한 80/20 법칙은 전문가시대에 더욱 극명하게 선이 그어집니다. 사회를 이끌어 나가는 20%는 자신들이 먼저 나서지 않아도 그들을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을 것이죠. 하지만 그렇지 못한 80%는 20%에 포함된 사람들처럼 자신을 위한 20%의 공간을 찾아야 하는데 그게 쉽지만은 않습니다. 이들을 위한 자리를 어느 정도는 사회가 수용할 수밖에 없죠. 그리고 지식 면에서 사회의 제반 경제와 문화를 창출해내는 것은 지식과 창의로 무장한 20%의 사람들이라는 통계 수치도 나와 있죠. 나머지 80%는 그들이 창출한 기반 아래 생활을 이끌어 나가는 것일 뿐입니다. (리처드 코치『80/20법칙』)

나뿐만 아니라, 우리 자녀가 20%에 속하는지 80%에 속하는지는 한 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죠. 핵심적인 소수가 될 것인가 하찮은 다수가 될 것인가는 단순히 본인의 선택 문제가 아닙니다.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핵심 소수인 20에 속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21세기는 능력 있는 사람만이 살아남는 정보 통신 시대죠. 많은 정보를 소유한 사람이 당연히 앞서 나갈 수 밖에 없습니다. 입시전쟁에서, 살아남는 정도가 아니라, 승리하려면 정확한, 최신의 정보가 필요하며, 게다가 자녀에게 적합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아직도, 입시에 대해 너무도 모르는 학부모님들이 참 많습니다. "우리 애가 다 알아서 할 거예요!" 제발 꿈에서 깨시길 바랍니다. 스마트폰을 쥐고, 놓지 않으려는 수준으로선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자녀가 20에 속하길 원하시면, 당장 인터넷을 멀리하도록 하는 것이 또한 방법입니다. 스마트폰은 집에 오면 끄도록 하고요. 자녀들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아직은 내게 필요한 정보를 고를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