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기업 채용에 'AI 면접관' 등장, '인간 편향성 배제'vs '평가 공정성 우려'

[뉴스진단]

500대 기업중 대부분 이미 자동화 기능 도입
점점 활용도 커져 AI채용 지원 자문회사까지


인공지능(AI)이 취업 준비생들의 운명을 결정하는 시대가 다가왔다.

경제전문지 포춘이 선정한 미국 500대 기업 중 대부분은 이미 채용 과정에 자동화 기능을 도입했고, 점점 더 많은 기업이 AI를 활용해 지원자를 평가하고 있다. 기업들의 AI 채용을 지원하는 자문회사까지 등장했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채용 컨설팅회사 딥센스는 AI로 지원자의 소셜미디어 계정을 스캔해 성격 특성을 도출해내고, 이 특성을 협동성·행동 성향·태도 등 각 항목에 따라 평가해 기업들에 제공한다.

또 다른 회사 하이어뷰는 유니레버, 힐튼호텔 등 50개 이상 기업에 'AI 면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원자는 면접관이 아닌 컴퓨터 앞에서 주어진 질문에 대답하고, 기록된 면접 영상은 사람이 아닌 AI가 평가한다.

AI는 그 과정에서 지원자의 목소리 톤, 자주 사용하는 단어, 미세한 표정을 분석해 이미 그 기업에서 높은 성과를 내고 있는 사람들과 비교한다.

하이어뷰의 케빈 파커 CEO는 이를 통해 채용 과정에서 작용하는 인간의 편향성을 배제할 수 있다며 "AI가 지원자들이 제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공정한 경기장'을 마련해 준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원자의 이력서와 역량이 아니라 성격에 기반한 AI의 평가가 과연 유효한 것이냐는 지적도 나온다.

코넬대 사회학 및 법학 교수인 이포마 아준와는 "어떤 직업에 어떤 표정이 적합한지 명확히 확립된 양식이 없다"고 말했다.

공정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아준와 교수는 AI 알고리즘도 편향성을 가질 수 있다며, 채용 자동화 시스템의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잘못된 알고리즘은 편향된 인간 담당자 1명보다 훨씬 더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준와 교수는 이어 채용 자동화 과정을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봐야 한다"며 알고리즘의 공정성과 투명성 및 정확성에 대해 더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