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외세 알사드르 진영-친이란 민병대 세력 결합

(테헤란=연합뉴스) 강훈상 특파원 =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와 남부 주요 도시에서 24일(현지시간) 오후 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

주요 외신과 현지 언론에 따르면 바그다드에서는 이날 이슬람 금요 대예배를 마친 시민 수십만명이 도심에 모였다.

이들은 '미국에 죽음을', '이스라엘에 죽음을', '점령자는 떠나라'와 같은 반미 구호를 외치면서 미군이 이라크에서 철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시위대는 미국 대사관이 있는 그린존으로 향할 예정이다. 이라크 군경은 그린존으로 이어지는 도로와 다리를 모두 봉쇄했다.

'100만의 행진'으로 이름이 붙여진 이날 반미 시위는 이라크 의회에서 최다 의석을 확보한 알사이룬 정파의 지도자 무크타다 알사드르가 제안해 이뤄졌다.

알사드르는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뒤 반미 무장투쟁을 이끈 강경 시아파 성직자로, 한때 친이란 성향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미국과 이란의 개입을 모두 반대하는 반외세·민족주의적 인물로 평가된다.

이날 시위에는 알사드르를 지지하는 세력과 미국에 반대하는 친이란 진영이 규합했다고 현지 언론들이 분석했다. 이들은 이란과 관계에 대한 관점이 다르고 이라크 정계에서는 경쟁관계지만 강한 반미 성향이고 종파적으로 시아파라는 공통점이 있다.

알사드르는 24일 낸 성명에서 "이라크 정부는 미국과 맺은 안보협정을 취소하고 미군 기지를 폐쇄해야 한다"라며 "미군뿐 아니라 미국의 민간 경호회사도 영업을 중단하고 이라크 영공에 대한 미군의 접근도 차단하라"라고 촉구했다.

이어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마지막 한 명의 미군이 이라크 영토를 떠날 때까지 저항하겠다"라고 경고했다.

이라크에서 가장 존경받는 시아파 최고종교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알시스타니는 이날 낸 설교문에서 "정치권 지도자들은 새 정부를 신속히 구성해야 한다"라며 "외국은 이라크의 주권을 침해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밝혔다.

알사드르의 사병조직인 평화여단(사라야 알살람)과 시아파 민병대는 이라크 군경과 시위대가 물리적으로 충돌하지 않도록 시위대 주변을 경호했다.

이라크에서는 지난달 29일 미군이 이라크의 친이란 시아파 민병대 기지를 폭격, 25명이 숨지자 이틀 뒤 이들 민병대가 주도한 반미 시위가 바그다드 주재 미 대사관 앞에서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일부 시위대가 미 대사관에 난입하기도 했다.

이어 미군이 이달 3일 바그다드 국제공항에서 이란 군부 거물 가셈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과 이라크 시아파 민병대의 아부 마흐디 알무한디스 부사령관을 폭격해 살해했다.

이라크 정부의 승인을 받지 않은 이 군사 사건을 계기로 이라크에서는 미국이 이라크의 주권을 침해했다는 반미 여론이 높아졌다.

앞서 이달 5일 이라크 의회는 미군 등 외국 군대의 철수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가결했고, 이라크 정부는 미국 정부에 이를 이행하라고 요구했다.

이와 관련, AFP통신은 22일 스위스 세계경제포럼(다보스 포럼)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바흐람 살리 이라크 대통령을 만나 "이라크에 잔류하기 싫다. 전례 없는 방식으로 이라크 주둔 미군을 감축하겠다"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라크에는 이슬람국가(IS) 소탕작전을 명분으로 현재 미군 5천200명 정도가 주둔한다.

미국과 이란의 공방이 이라크에서 가열하면서 지난해 10월 1일 시작해 넉 달째 계속되는 반정부 시위는 거센 반미 여론에 덮여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흐름이다.

기득 정치권의 부패 청산과 개혁, 조기 총선, 민생고 해결을 요구하며 이라크 곳곳을 휩쓴 이 반정부 시위는 미국과 이란 모두 이라크의 내정에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요구했다.

군경이 이 시위를 강경 진압하면서 시민 450여명이 숨졌고, 이에 책임을 지고 이라크 총리와 대통령이 지난달 차례로 의회에 사퇴서를 제출했다.

서방 언론은 반이란 성격을 띠는 이 시위가 이라크 정치권의 만성적 부패와 무능을 개혁하는 원동력이 되리라고 기대했지만 지난달 말부터 미국과 이란이 이라크에서 직·간접으로 무력 충돌하면서 관심 밖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이미 사퇴서를 낸 총리와 대통령은 의회의 정쟁으로 후임자가 정해지지 않은 탓에 계속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친이란 정파가 주도한 이라크의 현 정부를 반대하는 장기 시위와 우크라이나 여객기 격추로 입지가 좁아진 이란으로선 24일 이라크에서 열린 대규모 반미 시위가 수세적인 분위기를 다소 벗어나는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hsk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