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봉준호 감독은 오스카 캠페인을 거치면서 무려 500차례 이상 외신 인터뷰와 100여회 이상의 관객과 대화를 진행했다.

대부분 비슷한 질문을 받지만, 간혹 '예상 밖' 질문이 등장해 주위 사람들을 긴장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정작 봉 감독 자신은 당황하지 않고 '명답'을 내놓는다.

최근 유튜브 등에선 오스카 4관왕 수상을 전후해 봉 감독이 받은 이색 질문과 답변을 모은 영상들이 인기를 끈다.

'기생충'이 빈부격차와 양극화와 같은 주제를 다룬 만큼 정치적인 질문들이 주를 이룬다.

한 국제영화제에선 외신 기자가 봉 감독 전공(사회학)을 들며 "영화가 주로 사회 이슈, 계급 불안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 같다"고 운을 뗐다.

이에 봉 감독은 "사실 그 부분이 크다. 젊은 세대의 미래에도 사회나 계급 격차가 과연 좋아질 것인가 하는 불안감이 있다. 아들 키우는 사람으로서 그런 불안감을 표현하려고 했다"고 답했다. 그러자 이 기자는 "그렇다면, 이 영화는 한국 사회에 '혁명'이 시작되는 것을 표현한 것인가"라고 되물었다.

영어 질문을 바로 알아듣는 봉 감독은 통역을 맡은 샤론 최에게 질문 핵심을 다시금 확인하고는 "세상은 오히려 혁명으로부터 점점 거리가 멀어지는 것 같다. 혁명의 시대가 많이 지나갔다. 혁명이라는 것은 뭔가 부서뜨려야 할 대상이 있어야 하는데, 혁명을 통해 깨뜨려야 하는 게 무엇인지 파악하기가 힘들고 복잡해진 세상이 된 것 같다. 이 영화는 오히려 그런 것을 표현했다"고 답했다.

뉴욕영화제에선 봉 감독이 "'기생충' 속 캐릭터들은 사지가 멀쩡하고 분명히 능력 있는 사람들인데, 일자리가 없다. 그것이 영화의 출발점이다. 그 자체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양극화 시대에 대해 말해주는 바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들은 사회자는 봉 감독을 향해 "한국 선거에 나가시나요? 나가셔도 좋을 것 같은데…" 라고 말했다.

그러자 봉 감독은 무대 위에 있던 배우 송강호, 최우식, 박소담을 가리키며 "저와 여기에 있는 모든 배우는 예술에만 미친 사람들로 정치와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또 다른 행사장에선 학창 시절 정치적 활동을 했는지에 관한 질문도 나왔다. 봉 감독은 "그 당시에는 거의 모든 학생이 데모(시위)를 일상처럼 많이 했다. 하루에 수업을 3시간 하면, 데모도 2시간하고, 밥 먹고 시위했다가 공부도 하고…굉장히 일상이었다"고 떠올렸다.

'산타바바라 국제영화제'에서 진행한 관객과 대화 때는 사회자가 "'봉테일'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세부사항에 신경을 쓰시는데, 그런 통제가 배우나 스태프를 괴롭히는 것이 아니냐"고 물었다. 봉 감독은 "제가 '통제광'은 아닌데, 모든 것을 통제하긴 한다"며 웃었다.

봉 감독은 아카데미 시상식에 앞서 레드카펫에선 ABC방송 리포터로부터 "다른 영화는 영어로 만들었는데, 왜 이번 영화는 한국어로 만들었냐"는 황당한 질문을 받기도 했다.

봉 감독은 "'설국열차'에도 부자와 가난한 사람 이야기가 나오지만 이번에는 좀 더 내 이웃, 내 주변에서 정말 볼 수 있을 것 같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풀고 싶어서 자연스럽게 한국이라는 지역, 한국어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fusionj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