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율 감소 속도 한국 앞질러
경제난·취업난으로 결혼 포기
2035년 노인인구 4억명 넘을듯

올해 상반기 중국에서 혼인신고 건수가 343만 건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343만 건은 작년 같은 기간(392만8천건)에 비해 49만8천 건(12.7%)이나 급감한 것으로 2013년 이래 최저치 였다. 2014년 상반기(694만건)와 비교하면 10년 새 절반에도 못 미치게 됐다.
한국, 일본의 혼인수도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지만 중국의 경우 하락세가 가장 가파르다. 1993년 9.0 이었던 한국의 혼인율(인구 1천명당 혼인건수)은 2022년 3.7로 60% 가까이 떨어졌다. 일본도 2차 베이비붐이 있었던 1974년 혼인율은 9.0이 넘었지만 2022년 4.2까지 하락했다. 혼인율이 비슷한 수준까지 떨어지는데 일본이 50년 정도가 걸렸다면 한국은 30년 정도 걸렸다. 그런데 중국은 2013년까지 9.9 였던 조혼인율이 2022년 5.2까지 떨어졌다. 혼인율이 반토막 나는데 10년도 채 걸리지 않은 셈이다.
한국에서는 비혼주의자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지만 중국에선 공혼족이라는 단어가 유행중이다. 공혼족이란 말그대로 '결혼이 두려워 거부하거나 기피하는 청년들'을 말한다.
중국에서 결혼이 줄어드는 것은 결혼 적령기 인구 자체가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대체적이다. 중국에서는 1987년 이후 출산이 꾸준히 감소했다. 경제난과 취업난으로 결혼을 포기하는 세태 역시 결혼 감소 원인으로 꼽힌다.
결과적으로 국가별 인구 집계 이래 60년 넘게 세계 최대 인구대국 자리를 지켜왔던 중국은 지난해 인도에 1위 자리를 내주게 됐다. 중국의 노인인구는 조만간 3억명을 넘어 2035년 4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과거 젊고 풍부한 인구로 누렸던 '인구 보너스' 효과 대신 고령화된 거대 인구가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