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영광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트리거’의 반전 키다. 통통 튀는 전반부와 달리 후반부엔 강력한 서사를 심어뒀다. 여기에 “나? 문백이!”라는 3인칭 화법까지 더해져 악역의 새 계보를 썼다.

김영광은 최근 스포츠서울과 만나 ‘트리거’ 속 자신이 연기한 문백에 대해 “만화 캐릭터 같다”고 밝혔다.

‘트리거’는 총기 청정국 대한민국에서 출처를 알 수 없는 불법 총기가 배달되고 총기 사건이 끊임없이 발생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이에 김영광은 ‘한국에 총이 풀리면 어떻게 될까?’라는 신선한 발상에서 출발한 ‘트리거’에 끌렸다.

앉은 자리에서 한 번에 시나리오를 읽었다는 김영광은 “에피소드마다 ‘트리거’를 당길지 말지, 보여주는 캐릭터가 좋았다”며 “결국 모든 이야기가 ‘문백’으로 향하는 느낌이 들더라”고 말했다.

문백은 김영광이 연기한 캐릭터로, 총기 배달 사건의 배후다. 이도(김남길 분)의 미스터리한 조력자로 첫 등장한 문백은 점차 민낯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이를 연기하는 배우의 입장에선 초반부와 중반부, 후반부에 힘을 나눠 시청자에게 반전을 선사해야 했다.

김영광은 “문백이가 처음엔 너무 의심스럽게 등장한다. 동시에 너무 의도를 갖고 접근한 인물로 보이면 안 될 것 같았다”며 “너무 진지하게 연기하면 진입장벽이 있을까 봐 통통 튀는 초딩(초등학생) 같은 느낌으로 표현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초반부 문백은 이도와 180도 다른 인물이다. 용병 출신 이도는 자신의 총구가 많은 이들의 목숨을 앗아갔다는 죄책감을 지닌 인물로, 무채색에 가깝다. 반면 문백은 도파민을 추구하며, 어디로 튈지 모른다. 옷차림부터 화려한 문백은 이도와 대척점에 서 있다.

이는 후반부 이어질 문백의 전사와 시한부 설정을 감추기 위한 장치다. 김영광은 “문백이에겐 시간이 얼마 없다. 아파하는 모습과 반대되도록 화려한 의상으로 설정한 부분이 있다”고 짚었다.

흔히 작품 속 등장하는 빌런은 두 부류다. 이야기도 듣기 싫은 나쁜 놈이거나, 나쁜 놈인데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은 매력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문백은 후자에 가깝다. 빌런이 될 수밖에 없는 서사에 시한부 설정, 애교 가득한 3인칭 화법까지 구사한다.

특히 화제를 모은 “문백이는 참지 않지!”라는 대사에 대해 김영광은 “저는 그 부분을 왜 그렇게 좋아하시는지 모르겠다”며 “촬영할 때도 감독님께 내내 ‘이거 꼭 해야 해요?’라고 물어봤었다”고 웃음을 보였다.

극 내향형(I) 김영광에게 극 외향인(E) 성향의 문백을 입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김영광은 “제 성격이랑 안 맞았는데 막상 나오고 나니까 다들 너무 좋아해주시더라”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다만 빌런은 빌런이다. 김영광 역시 문백에게 이입하는 지점을 경계했다. 김영광은 “문백이에겐 강력한 서사가 존재한다. 어떤 식으로 연기해도 이해될 것 같은 순간들이 있다”며 “문백의 서사를 복수심으로 해석하면 미화의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오히려 문백이 죽어가기 때문에 마음대로 해도 된다는 마음으로 연기했다. 감정적이지 않으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작품 말미 ‘트리거’는 총이 불러오는 혼란과 두려움에서 비롯된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 ‘나’를 지키기 위해 사용하는 폭력(총)에 대한 경계의 메시지다. 여기에 이도와 문백 역시 열린 결말을 맞이한다.

김영광은 “치고받는 액션으로 마무리 짓지 않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이도는 사람을 구하기 위해 누군가를 죽이는 건 안 된다는 생각이었고, 문백은 총을 들어야 모두가 평등하다는 것이었다”며 “후속편이 나올 것 같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다음’을 생각하며 끝낼 수 있다는 게 좋았다”고 인사했다. sjay0928@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