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기준금리 4.25~4.5% 동결…트럼프 2기 출범후 첫 통화정책회의 "정책 지켜볼것"

[경제진단]

작년 3연속 인하 추세 새해에 중단
"추가 금리인하를 서두를 필요 없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첫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동결했다.
연준은 29일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9월과 11월, 12월 3차례 연속 이어진 연준의 금리 인하 움직임이 새해 들어 일단 멈추게 됐다. 이번 FOMC 회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처음 열린 것으로,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개적인 금리 인하 압박 요구에도 동결을 택했다.
이는 이번 회의를 앞두고 나온 시장 전문가의 예상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세나 당분간 트럼프 2기 행정부 새 정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 필요성 등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경제학자나 시장 전문가 사이에서 남부 국경 봉쇄 및 불법이민자 대규모 추방, 고율 관세 부과 등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공약이 오히려 인플레이션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많았기 때문에 연준이 이에 대한 관망 태세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금리 동결 후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강한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추가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고율 관세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정책의 영향에 대해선 정책이 구체화하기 전까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기 어렵다며 판단을 유보했다. 그는 "우리는 인플레이션의 추가 진전이 필요하다"라고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