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각방 쓰고 부부 사이 더 좋아졌어요"

    미국에서 부부 10쌍 중 3쌍 이상이 배우자와 잠을 따로 자는 ‘수면 이혼’(Sleep Divorce)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최근 젊은 부부일수록 잠을 각방에서 자는 방식을 택하고 있는 추세가 뚜렷하단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사회적 고립·외로움, 노인 당뇨병 위험 30% 이상 높여"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외로운 노인들은 당뇨병과 고혈당에 걸릴 위험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34%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혈당 관리가 부실해질 확률도 75%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켁의과대학 사미야 칸 박사팀은 13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내분비학회 연례 회의(ENDO 2025)에서 2003~2008년 미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의 데이터를 이용, 60~84세 3천800여명의 데이터를 분석,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 "외로움은 정신적·신체적 건강 악화 요인…정기 검사 필요"

    미국인 10명 중 8명 이상이 어느 정도 외로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스스로 느끼는 외로움 정도는 우울증과 건강 악화에 대한 강력하고 독립적인 예측 요인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 D. C. 하워드의대 올루와세군 아키니에미 박사팀은 10일 국제 학술지 PLOS 원(PLOS One)에서 미국인 4만7천여명에 대한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 외로움 정도가 정신적·신체적 건강 악화 일수와 강하게 연관돼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 "위암 발병 76%, 헬리코박터 탓"

    2008~2017년 전 세계에서 태어난 사람 중 1천560만명이 평생 위암에 걸리고, 이 중 76%(1천186만명)는 위에서 흔히 발견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원인일 것으로 예상됐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 박진영 박사팀은 8일 의학저널 네이처 메디신에서 2022년 기준 세계 185개국 위암 발생률 데이터와 유엔 인구통계 자료를 이용해 2008~2017년 태어난 세대의 미래 위암 부담을 분석,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 '비흡연자' 폐암 증가…왜?

    세계적인 흡연 감소 추세 속에 비흡연자 폐암 비율이 증가하는 것은 대기오염 등이 비흡연자에게 폐암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UC 샌디에고와 미 국립암연구소(NCI) 공동 연구팀은 3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세계 28개 지역, 비흡연자 870여명의 폐종양 게놈을 분석, 대기오염 등 환경 노출과 폐암 발병에 기여하는 유전적 돌연변이 발생 간 연관성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 "당신은 외롭지 않으십니까?"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시간당 약 100명이 사망한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경고했다. WHO는 3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전 세계 인구의 6분의 1이 외로움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 흡연·비만보다 위험한 'OO'

    악몽을 자주 꾸는 사람일수록 조기 사망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4일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과 아비데미 오타이쿠 영국 치매 연구소 박사 연구팀은 유럽 신경학 아카데미(EAN) 총회에서 “악몽은 흡연이나 비만, 질 낮은 식단, 운동 부족보다도 조기 사망을 더 강하게 예측한다”고 밝혔다.

  • "스크린타임 증가→수면부족·뇌발달 저하…우울증 위험 높여"

    디지털기기 사용 증가가 청소년 우울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스크린타임과 우울증 간 연관성이 수면 부족과 뇌 백질(white matter) 발달 문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조앙 파울루 리마 산투스 박사팀은 25일 미국의사협회 저널 JAMA 소아과학(JAMA Pediatrics)에서 아동 청소년기 970여명을 대상으로 스크린타임과 우울증 관계 및 이 관계에 수면시간과 뇌 백질 발달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 "이 색깔 문신, 암 부른다고?"

    문신을 한 사람이 하지 않은 사람보다 혈액암의 일종인 림프종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최근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스웨덴 룬드대학교 연구팀은 20~60세 성인 약 1만 2000명을 대상으로 문신과 림프종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문신을 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림프종 발병 위험이 약 2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건강' 보다 '경제'가 더 우선?

    연방 정부가 수십 년간 유지해온 성인 음주량 권고 지침을 전면 수정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하루 1~2잔 제한’이라는 구체적 권고가 사라지고, 보다 일반적인 ‘절제된 음주’라는 표현으로 대체될 전망이다. 이는 최근 수년간 건강 우려로 소비가 위축된 주류업계에는 큰 호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