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마 빈라덴 사살 특부부대 '美 네이비실팀6'

 

NYT "하노이 핵회담 직전 비밀작전"
해안서 민간인 선박 맞닥뜨려 실패
선원들 몰살후 임무 완수못하고 퇴각

 

‘2019년 초 어느 겨울밤, 네이비실 대원들이 먹물처럼 검은 바다에서 나와 북한의 험준한 해안으로 살금살금 다가갔다.’

미 해군 특수부대가 2019년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도청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북한 영해로 침투했으나 북한 민간인을 태운 선박이 나타나 임무를 수행하지 못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5일 보도했다. 그러면서 특수부대는 기밀 유지를 위해 북한 민간인들을 몰살한 뒤 복귀했다고 전했다.

NYT에 따르면 2019년 초 미 해군 최정예 특수부대인 네이비실 팀6(SEAL Team 6)가 북한의 험준한 해안에 몰래 침투했다. 오사마 빈라덴 사살 작전에 참여했던 바로 그 부대다. 이들은 미·북 고위급 핵 회담이 진행되는 동안 김정은의 통신 장비 도청을 위해 새롭게 개발한 장치를 북한 영토 인근에 설치하는 극비 임무를 부여받았다. 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이고 권위적인 정권인 북한에서 휴민트(인적 정보)를 확보하는 게 어려워 대안을 마련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작전 이전인 2018년 싱가포르 정상회담에 이어 2019년 하노이 정상회담으로 김정은과 대북 비핵화 협상을 이어가고 있었다. 예측 불가능한 김정은의 생각을 파악하기 위해 도청이 반드시 필요했다는 것이다.

워낙 민감한 작전이었기 때문에 반드시 대통령의 직접 승인이 필요했다고 한다. 북한 측에 발각될 경우 협상이 결렬될 뿐만 아니라 요원들이 인질로 나포되거나 전쟁이 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작전이 발각될 경우 북한이 주한 미군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하고, 미국 본토를 향해 핵탄두를 탑재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고 봤다. 트럼프는 이들이 북한으로 출발한 뒤에야 최종 승인을 내렸다고 한다.

길이 220m의 핵추진 잠수정을 타고 한밤중에 북한 인근 해역에 접근한 뒤, 8명의 네이비실 요원들이 약 10m 길이의 소형 잠수정 두 척에 나눠 타고 연안으로 이동했다. 이 소형 잠수정은 요원들이 바닷물에 노출되는 구조다. 요원들은 당시 약 4~5도로 낮은 수온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특수 수트와 스쿠버 장비를 착용했다. 

네이비실 요원들은 바닷가 목적지 인근까지 도달했지만, 이들 앞에 예상치 못한 북한 민간 어선이 나타났다. 몇 달간 어민들의 동향을 관찰한 결과 해당 시간대에는 선박 활동이 없을 것이라고 봤지만, 빗나간 것이다. 북한 선박에서 어민들이 요원쪽을 향해 전등을 비추자 요원들은 발각되지 않기 위해 즉각 사격을 개시했다. 이들은 단숨에 북한 선박에 타고 있던 2~3명의 어민을 전원 사살했다. 요원들은 시신이 물에 가라앉도록 하기 위해 칼로 폐를 찌르기도 했다고 한다. 결국 특수부대는 도청 장치를 설치하는 임무를 수행하지 못한 채 퇴각했다.

작전 직후 미국 위성은 북한군이 대거 움직이는 정황을 포착했으나 북한은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북한이 해당 작전과 관련해 어느 정도로 정보를 확보했는지 여부도 불분명하다. 미국 쪽에서도 이 작전은 의회 정보·군사 감독위원회에 사전에 보고되지 않은 것은 물론, 이후에도 공개되지 않았다. 

NYT는 “트럼프와 김정은의 당시 회담은 결국 결렬됐고 북핵 프로그램은 가속화됐다”며 “미국 정부는 현재 북한이 미국 서부 해안까지 도달할 수 있는 핵무기 약 50기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처음 듣는 얘기"
 '김정은 도청 작전' 부인

한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NYT 보도에 대해 “난 아는 바가 없다”며 “확인해 볼 수 있지만 난 아무것도 모른다”고 했다.
트럼프는 6일 백악관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질문을 받은 뒤 “나는 지금 처음 듣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방부 역시 이번 보도의 진위 여부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