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처음'명품기업 시가총액 1위'자리 내줘 굴욕…주가 7.8% 급락, 에르메스에 42억 유로 뒤져
[프랑스]
예상치 밑돈 1분기 실적, 中소비침체·美 매출도 꺾여
초부유층 겨냥 고가 제품 주력 '에르메스' 전략 주효
최고의 명품기업으로 군림해온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가 처음으로 '명품기업 시가총액 1위' 자리를 에르메스에 내줬다.
15일 프랑스 증시 CAC40에서 LVMH 주가는 7.82% 급락한 488.65유로에 장을 마쳤다. 이날 장 마감 기준 LVMH의 시가총액은 2443억9400만유로로 2486억1600만유로를 기록한 에르메스에 밀렸다. 1990년대부터 명품기업 시가총액 1위를 줄곧 지켜온 LVMH가 1위에서 밀려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주가 급락은 부진한 실적 때문이다. LVMH의 지난 1분기 매출은 203억1100만유로로 전년 동기(206억9400만유로)에 비해 1.85% 감소했다.
월가 추정치 평균 212억유로를 크게 밑돌았다.
그룹 매출의 78%를 차지하는 패션·가죽제품 매출은 지난해보다 3.6% 줄어든 101억유로에 그쳤다. 지역별로 보면 중국 한국 등 아시아 지역(일본 제외)의 1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11% 감소했고, 북미와 일본에서도 각각 3%, 1% 줄었다.
유럽에서만 전년 대비 2% 증가했을 뿐이다. LVMH는 “중국의 경기 침체, 북미 시장 내 화장품 유통사의 할인 경쟁이 실적 부진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LVMH는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의 적극적인 인수합병 전략에 힘입어 명품기업 시총 1위 자리를 지켜왔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1년엔 전체 유럽 기업 시총 1위에 까지 올랐으나 명품 큰손인 중국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며 시총이 반토막 났다.
초부유층 고객을 겨냥해 1만달러짜리 버킨 백 등 제한된 고가 제품을 만들어내는 에르메스의 전략이 상대적으로 브랜드 가치가 낮은 브랜드가 많은 LVMH를 넘어서게한 주 원인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우려도 LVMH 주가를 끌어내린 배경으로 지적됐다.
유럽연합(EU)산 제품에 2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미국의 상호관세도 타격이 됐다.LVMH는 1개월 사이 주가가 19.85% 급락했다. 전망이 비교적 나쁘지 않은 에르메스가 같은 기간 5.27% 하락한 것과 비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