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족, 기아 美법인 상대 1500만불 소송… "훔치기 쉽게 만들어 사고 발생" 주장
[뉴스진단]
"도난방지 기술 누락 등 명백한 과실"
기아차의 설계 결함으로 차량 도난이 쉬워진 탓에 4살 아들이 사망했다며 오하이오주의 유족이 기아 미국법인을 상대로 1500만달러에 달하는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NBC에 따르면 지난 2023년 7월 22일 오하이오 콜럼버스시의 아파트 단지 내 놀이터에서 어머니와 함께 놀고 있던 요니스 카비로 사이드(당시 4세)가 기아 쏘울 차량에 치여 숨졌다. 운전자는 26세 남성으로, 그는 차를 훔쳐 경찰을 피해 도주하던 중 이 아이를 친 것이다. 그는 시속 40마일로 놀이터 잔디밭을 돌진했고, 사고 직후 차에서 내려 잃어버린 휴대폰을 찾은 뒤 도주하다 체포됐다. 사고 당시 기아 쏘울은 도난 신고가 접수된 상태였다. 그는 14~19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
이와관련 피해자 가족은 지난 21일 콜럼버스 연방법원에 '불법행위에 의한 사망'(wrongful death)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은 기아차가 미국 판매 차량에 도난방지장치(이모빌라이저)를 설치하지 않은 채 유통해 공공안전을 위협했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거론하고 있다. 유가족은 기아차의 명백한 과실로 인해 아이가 희생됐다며 제품 설계 결함, 도난방지 기술 누락, 공공위해 등 6가지 책임을 묻고 보상적 손해배상 500만달러와 징벌적 손해배상 1000만달러를 청구했다.
유족 측 변호인은 “도난을 어렵게 만드는 것은 재산 보호일 뿐 아니라, 위험 운전으로부터 대중을 지키는 공공안전 문제”라며 “기아차는 연방의 도난방지 기술 기준을 무시했고, 그 결과 이같은 끔찍한 사건을 초래했했다" 고 주장했다.
기아차는 유럽과 캐나다에는 이모빌라이저를 기본 장착한 반면, 미국 시장에는 2011~2021년 생산된 저가 모델을 중심으로 해당 장치를 생략했다. 특히 해당 차량은 USB 케이블로도 시동이 가능한 구조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SNS 틱톡(TikTok)에서 ‘기아 챌린지(Kia Challenge)’라는 유행으로 번져 청소년 범죄를 조장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콜럼버스 경찰에 따르면, 2021~2023년 사이 시내 차량 절도 사건의 약 50%가 기아 또는 현대 차량이었다.
이에앞서 지난 2024년 2월에도 10대 청소년이 훔쳐 타고가던 기아 차량에 치여 숨진 36세 남성의 유가족이 기아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제3자의 운전 행위에 대해 제조사가 책임질 수 없다”며 기각한 바 있다.
콜럼버스시는 별도로 2023년 기아·현대차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으며, 이 사건은 현재 캘리포니아 연방법원으로 이관돼 계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