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 같은 공개 모욕 운명 피한 李 대통령"

'한국내 숙청, 혁명' 운운 초기 경고
따뜻한 환영 분위기로 부드럽게 전환
트럼프 "中 같이 가겠느냐" 웃음바다

25일 백악관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의 첫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 외신들은 긴장된 분위기에서 시작된 양국 간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폭풍 칭찬을 쏟아낸 이재명 대통령의 화법을 주목했다. 이날 정상회담 직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냐. 마치 숙청이나 혁명이라도 일어난 것 같다. 그런 상황에서는 사업을 할 수 없다’고 트윗해 당국자들을 긴장시킨 바 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의 칭찬과 이에 대한 화답이 오가는 과정에서 분위기가 부드러워졌고 중간 중간 박장대소가 나오는 상황도 연출됐다.
영국 BBC는 “이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같은 운명을 피했다”고 분석했다. 지난 2월 미·우 정상회담에서 공개 모욕을 당하는 외교 참사 끝에 백악관에서 쫓겨나다시피 한 젤렌스키와 같은 일은 벌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 이날 이 대통령은 미 언론들이 “트럼프를 극찬했다”고 평가할 만큼 백악관의 금빛 장식부터 트럼프의 평화 정책 등을 추켜세워주며 트럼프의 기분을 맞췄고, 트럼프 역시 농담을 하고 웃음을 지어 보이는 등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이뤄졌다.
AP통신은 ‘트럼프의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초기 경고가 아첨 후 따뜻한 환영으로 전환됐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아부'(flattery)로 백악관 방문을 시작했다”며 이 대통령의 칭찬 발언을 소개했다. AP통신은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무실에 사용한 장식적인 감각을 칭찬했다”며 “금색으로 장식된 사무실에 대해 ‘매우 밝고 아름다워 보인다’, ‘미국의 위엄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 대통령이 “미국이 다시 위대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도움을 요청한 발언을 소개하기도 했다.
AP는 “이 우호적인 모습은 세계 정상들이 트럼프와의 과거 회담에서 교훈을 얻고 있음을 보여줬다. 그들은 대체로 무역 조건과 워싱턴의 지속적인 군사 지원을 얻기 위해 대결보다는 칭송과 아부를 택해왔다”며 “이 대통령은 노벨 평화상을 받기 위해 노력해온 트럼프에게 한반도 통일을 달성하고, 북한에 트럼프 타워를 건설하며 골프 라운드를 하는 모습까지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 대통령과의 회담 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칭찬한 트럼프 발언을 주목했다. NYT는 “수십 년간 이어져 온 한미 동맹이 경색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독재자 김정은을 칭찬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거듭 언급하며 북한이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고, 한때 김 위원장과 이 대통령의 만남을 주선하겠다고 제안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주석을 만날 의지를 밝히는 과정에서 이 대통령에게 ‘같이 갈 수도 있겠는데, 같이 가겠느냐. 비행기를 같이 타면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한 사실을 전하며 “방 안이 웃음바다가 됐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