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으로 황폐화 된 유럽에 미국의 원조로 재건계획인 마셜플랜이 생겼다. 이로 인해 고도의 경제성장이 이루어져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유럽에는 주택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자 국가가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중산층을 대상으로 교외에 아파트를 대량으로 짓게 된다. 먼저 영국의 경우에는 이 시기에 국가에서 중산층을 위해 대량의 임대 아파트를 공급했고, 그 후 대처 수상 시절인 1970년대에 민간에 불하되었으나 아직도 탄광 근처 등에는 국가 소유의 공동 아파트들이 남아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오일쇼크와 이민자 문제가 겹쳐져 서서히 슬럼화되어 80년대 후반 이후로는 현재처럼 돈없는 이민자들의 주거지가 되기도 하였다.
프랑스 같은 몇몇 유럽국가들의 경우 빈민들이 사는 아파트 단지들이 교외에 있으며 오히려 시내 중심가에 있는 19세기식 아파트들이 고급 아파트라는 인식이 강하다. 유럽의 아파트들이 처음부터 극빈층이나 이민자들을 위한 것보다는 중산층 이상을 위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흔히 도심지를 벗어나면 널찍한 단독주택 단지가 나타날 것 같은 우리가 상상하는 유럽의 풍경과는 조금 다르다.
한편 북유럽의 경우 슬럼화된 아파트와 좋은 아파트가 공존하는데, 추운 기후 때문에 북쪽으로 갈수록 고층 아파트의 비중이 높아진다. 우선 노르웨이를 보면 추운 기후 때문에 공동주택 형식의 주택이 일찍부터 발달했다. 스칸디나비아 반도 서쪽의 노르웨이는 국토의 72%가 빙하에 침식된 산지이고, 만년설이나 빙하가 지금도 남아 있어 국가 면적에 비하여 거주지의 비율이 아주 낮은 나라이다. 이 때문에 전체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을 뜻하는 건폐율이 높아 아파트 단지들도 여유공간이 부족하게 건설될 수밖에 없다. 또 주상복합형 아파트가 일반적이라 1층은 상업시설, 2층은 간단한 복지시설이나 오피스로 이루어졌고, 거주층은 3층 이상이며 보통 6층에서 10층 정도의 높이로 짓는다.
노르웨이 옆의 스웨덴도 공동주택 역사가 오래되었다. 2차 대전 후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서민과 중산층이 쉽게 내집 마련을 할 수 있도록 아파트를 대량으로 지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형태의 임대아파트들은 일부 슬럼화되어 이민자들 차지가 된 곳도 많지만, 아직도 중산층이나 백인 서민층들이 사는 곳도 생각보다 많다. 그래서인지 스웨덴 사람들은 평소에는 아파트에 살다 여름이 되면 각자 자기 소유의 별장으로 가서 휴가를 즐기는 것이 일반적인 생활 패턴이다. 수도인 스톡홀름은 건물의 높이 제한으로 6층 안팎으로 짓는 경우가 많으나 건폐율이 높아 아파트 단지내에 같은 모양의 건물들이 빽빽이 들어서 있다.
한편 혹한 때문에 거주지가 제한된 스웨덴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에서 자금이 몰려들어 땅값이 폭등하고 공동주택들이 대거 건설되었다. 그런 스웨덴에 한국형 아파트가 대거 유입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건물배치를 한국의 아파트처럼 하고 난방은 온돌보일러인 한국식 아파트가 대세라고한다. 특히 스톡홀름엔 연 20% 넘는 가격의 폭등세가 7년째 이어지고 있다니 이 것도 한류 열풍의 하나인 모양이다.
현대 도시의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도시 중심과 연결될 수 있게 교통이 좋은 곳에 모든 편리시설을 갖추고 있는 공동주택인 아파트의 개발이다. 예를 들어 덴마크의 수도인 코펜하겐 외곽 신도시에 유명 건축회사가 설계한 '8 하우스'가 있다. 위에서 보면 8자를 닮은 건물의 형태도 특이하지만 아파트 건물에 경사로를 도입하여 마치 단독주택단지의 골목길처럼 만든 독특한 건축양식이다. 덴마크는 전통적으로 단지 가운데에 중정(court yard)이 있는데, 이것을 현대화하여 추운 북유럽 지역의 환경에 대응하고 보통 다세대 주택에서는 생각하기 어려운 길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즉, 8자의 건물 안 동그라미가 중정이 되고 8자로 이루어진 건물의 높낮이가 달라 1층에서 10층까지 자전거를 타고 꼭대기층의 옥상 파킹장까지 올라갈 수도 있다. 2010년 지어진 이 아파트는 창의적이며, 친환경적이어서 당연히 세계적인 건축가들의 주목을 받고있다.
이렇게 유럽의 주거 건축물들은 다양성과 공공성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단지마다 건축방식에 차이가 있어 개성을 강조하였으며 대부분 높이가 낮고 특히 자연이나 주변과의 조화를 중시하면서 친환경적이다. 또 아파트의 브랜드는 건설회사가 아니라 건축가의 브랜드로 받아들여진다는 것이 한국의 아파트와 다르다. 그리고 대부분의 단지에는 임대 아파트와 우리가 콘도라고 부르는 개인 소유의 유닛이 공존하고 있다.
▶문의: (818)497-8949
2017-07-20 02:0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