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미국, 영국, 프랑스, 구 소련 전승국 4나라는 패전국 독일을 서쪽과 동쪽으로 나눠 점령했다. 이 중 미국 등 서방 3개국이 점령한 서쪽 지역은 합쳐져 ‘서독’이 되었지만 소련 점령구역 ‘동독’은 공산주의 국가로 변해가고 있었다.
헌데 동독 내에 위치한 베를린 또한 동-서로 분단되면서 서 베를린은 마치 섬처럼 고립되어 그곳 시민들은 전적으로 서독에서 보내는 식량과 연료 등에 의존해야만 했다. 이를 이용해 스탈린은 서 베를린에서 미국 등을 축출하기 위해 서독과 서 베를린을 잇는 육상 교통로를 1948년 6월 봉쇄해 버렸다. 이른바 베를린 봉쇄의 시작이었다.
이제 어떻게 될지,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 아무도 기약할 수 없던 상황에서 서 베를린 시장은 서방 세계를 향해 ‘도시와 시민들을 지켜 줄 것을 포기하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그러자 미국 등 서방은 이에 맞서 항공로를 이용해 서 베를린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물자를 실어 보내는 공수작전을 시작했다. 사상 최대 최장 공수작전인 이른바 ‘비틀스 작전’이었다.
이 작전에 투입된 군인들 중에 베테랑 미 조종사 할보르센도 있었다. 27세 중위였던 그는 거의 매일 서베를린으로 날아가 보급품을 전달했는데 어느 날 군기지 공항에서 철조망 너머로 자신을 바라보는 20여 명의 아이들을 보게 되었다.
그는 호주머니에 들어있던 껌 두 개를 꺼내 네 조각으로 나눠 건네주었다. 헌데 껌을 받지 못한 아이들이 빈 껍데기를 돌려가며 냄새를 맡는 것을 보고 안쓰러워진 그는 아이들에게 ‘내일 다시 와서 비행기로 사탕을 많이 뿌려주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막상 이런 일은 군법에 어긋나는 일이었음에 약속을 믿고 자신을 기다릴 아이들을 저버릴 수 없었던 그는 상부 몰래 동료 조종사들과 함께 사탕과 초콜릿, 건포도 등을 모아 옷천이나 수건 등으로 만든 작은 낙하산에 매달아 뿌렸다. 이 후 독일 아이들은 하루종일 미군 비행기가 오기를 기다렸다가 달려가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이 때부터 할보르센이 조종한 수송기는 ‘사탕 폭격기(Candy Bomber)’라 불렸다.
이러한 사연을 뒤늦게 알게 된 미 공군은 이를 정식으로 승인하고 ‘리틀 비틀스 작전’으로 명명해 이듬해 9월까지 14개월간 서 베를린의 아이들에게 23톤의 사탕과 과자 등을 비행기로 뿌렸다. 이러한 폭탄이 아닌 사탕을 뿌리는 미군 수송기는 서 베를린 시민들 특히 아이들에겐 자신들을 결코 저버리지 않으리라는 희망의 상징이 되었다. 이는 15년 후 케네디 대통령의 서베를린 연설로 더욱 승화되었다. 1963년 서베를린을 찾은 케네디는 "Ich bin ein Berliner/나는 베를린 시민"이라고 외치며 소련과 동독에 맞서 서 베를린, 모든 자유인을 지켜내겠다는 단호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얼마전 게일 할보르센이 101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그가 독일 땅 어린이들에게 뿌린 희망의 씨앗과 케네디가 보여준 신뢰는 40년이 지난 1989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 그리고 독일의 통일과 아울러 공산주의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밑거름이 되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달 미 의회에서 화상연설을 통해 아이와 여성이 울부짖는 등의 광경이 담긴 동영상과 함께 ‘포기는 1초도 생각해 본 적이 없다’며 지원을 호소했다.
아이들은 물론 그들 모두에게 희망을 잃지 않게 할 제2의 사탕폭격기는 무엇일지, 그들의 자긍심을 드높일 제2의 외침은 어떤 것일 지 할보르센의 명복을 빌며 인도주의를 간구해 본다.
2022-04-05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