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은 4계절이 아닌 2계절
지구라는 행성에서 특정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1년 365일 동안 봄, 여름, 가을, 겨울 이렇게 네 개의 계절 변화를 겪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특정지역은 북극과 남극 그리고 적도 같이 극한의 추위와 더위가 없는 온대지방을 의미합니다. 같은 온대라도 LA날씨와 서울의 날씨는 다르죠. 이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사계절이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계절에 맞춰 냉난방을 조절하고 옷을 바꿔 입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견해서 여러분들께 전해드릴까 합니다.
스탠포드 대학의 연구자들이 샌프란시스코 근처에 사는 주민 105명을 대상으로 4년 동안 해마다 4번씩 혈액을 채취해서 분석을 했답니다. 어떤 것을 분석했느냐 하면 25세에서 75세까지 넓은 연령의 대상자들의 면역력, 염증 정도, 심장 상태, 신진 대사, 미생물 생태계 등에 관한 분자 데이터를 분석하고 또 식단과 운동 습관까지 추적 관찰했다고 합니다. 자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연구자들 말을 빌리면 해마다 천 개가 넘는 분자가 밀물과 썰물처럼 변화했는데 이런 변화는 대개 늦봄-초여름과 늦가을-초겨울의 두 시점에 일어났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늦봄에는 알레르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염증 지표가 상승했습니다. 류머티즘성 관절염, 골 관절염 관련 분자가 급증했고, 2형 당뇨병의 위험을 나타내는 단백질과 수면 사이클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수치 역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한편 늦가을에는 바이러스성 감염과 싸우는데 기여하는 면역 분자가 증가합니다. 혈압도 이 시기를 계기로 높아지고, 여름에 개선됐던 여드름을 겨울에 악화시키는 물질도 확인되었습니다. 흥미롭게도 겨울잠을 자는 포유류에서 이 시기 많이 발현되는 단백질이 사람에게도 늦가을에 더 많이 나타났다고 하네요. 그래서 연구자들은 바로 이 시기가 바로 환경과 우리 몸에서 변화가 일어나는 중요한 환절기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니까 우리 몸은 사계절이 아니라 두 개의 계절이 있는 셈입니다. 계절에 따른 인체의 변화를 이해한다면 일상의 건강관리에 조금 더 도움이 되지않을까요. 바이러스와 공존 할 수 밖에 없는 이 가을 어떻게 하면 건강하게 잘 보낼 수 있는지 곰곰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볼 때입니다.
2021-09-24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