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존스 4%▲·S&P지수 5%▲·나스닥 6%▲
상호관세 충격에 패닉, 침체 우려 투자자'공포'
시가총액 3조1천억불 증발…트럼프 "예상된 것"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다음날인 3일 뉴욕증시가 팬데믹 확산 초기였던 2020년 이후 5년 만에 최악의 하루를 맞았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보복 관세를 초래해 글로벌 무역전쟁을 격화시키며 미국 경제에도 타격을 가할 것이란 우려가 투자자들을 공포에 휩싸이게 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는 전장보다 1,679.39포인트(-3.98%) 떨어진 40,545.93에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4.45포인트(-4.84%) 급락한 5,396.52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50.44포인트(-5.97%) 급락한 16,550.61에 각각 마감했다.
다우와 S&P 500는 각각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은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일간 낙폭을 기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하루 약 3조1천억 달러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고 전했다.
이에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주가 하락은 예상됐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경제는 많은 문제가 있다. 그것은 수술받았으며 경제는 호황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주식시장 폭락이 퇴직자의 연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 "나는 내 401K(연금)를 확인하지 않았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