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 25% 언급에 車업계 '화들짝'…"대미 車수출액 19% 감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수입차 관세 규모로 '25%'를 언급하면서 한국 자동차 업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업계에서는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자동차에 10%의 관세를 매길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왔으나, 이런 예상을 두 배 이상 웃도는 '25% 카드'를 꺼내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2025-02-19
-
하이브리드 항공사를 표방하고 있는 국적항공사 에어프레미아가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창사 첫 연간 순이익을 달성했다. LA를 비롯한 미주 노선 등 장거리 노선의 여객 사업과 화물 사업이 호실적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2025-02-18
-
미국 내 집값이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LA와 오렌지카운티에서 1000만달러가 넘는 초호화 고가 주택 거래가 급증하면서 전국에서 고가 주택 판매 순위에서 2위와 5위에 각각 이름을 올려 고가 럭셔리 주택 시장의 열기가 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5-02-18
-
항공기·로켓 ·드론·공중택시 등으로 하늘길이 혼잡해져 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7일 보도했다. 경영 컨설팅업체 올리버 와이먼의 자료에 따르면 세계의 여객기 대수가 2034년에는 지금보다 약 3분의 1이 많은 3만6천여대에 이를 전망이다.
2025-02-18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연일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부과 정책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경제를 뒤흔들고 있다. 이는 마가(MAGA·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트럼프의 선거 구호)를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 행보로 볼 수 있지만 미국에 반드시 큰 이득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2025-02-14
-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미국의 가계 부채 연체율이 4년 반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13일(현지시간) 발표한 작년 4분기 가계 부채 및 신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계 부채는 전분기 대비 0. 5%(930억달러) 증가한 18조400억달러로 집계됐다.
2025-02-14
-
치솟는 금값…월가 은행들, 대서양 횡단 '금괴 수송 작전'
금값이 고공행진을 지속하며 온스당 3천달러를 눈앞에 둔 가운데 진풍경이 펼쳐지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월가 은행들이 금괴를 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기는 경쟁을 벌이고 있다. 월가 은행들이 '금괴 수송 작전'에 나선 이유는 런던 가격이 뉴욕 가격보다 낮은 까닭이다.
2025-02-14
-
트럼프가 콕 집어 겨냥한 부가가치세…관세전쟁 핵심 부상
13일(현지시간) '상호 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가가치세(VAT·이하 부가세)를 콕 집어 상호관세 책정 주요 요소라고 밝히면서 부가세가 관세전쟁 확대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부가세는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 부과하는 세금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불공정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2025-02-14
-
美 "이르면 4월초 상호관세 부과"…FTA 맺은 한국도 영향권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13일(현지시간) 무역 파트너들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두루 고려해 이르면 4월초 맞춤형 '상호 관세'를 세계 각국에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이 확전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한국도 '상호관세' 부과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2025-02-14
-
美앱스토어에 돌아온 틱톡…트럼프 "서비스 금지 유예 연장 가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중국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 금지 유예 기간이 더 연장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관세에 관한 각서에 서명한 뒤 기자들과의 질의응답 과정에 '틱톡 강제 매각' 관련 질문을 받고 "서비스 유지를 위해 거래가 성사되기를 여전히 희망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