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시오노기 제약회사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임상시험 돌입, 미국 화이자 등과 출시 경쟁 가열 

바이러스 복제 억제 '항바이러스제'
복용한뒤 5일후 바이러스 중화 효과
=================================
정맥주사 투여 치료제 효과 제한적
WSJ "코로나 확산 저지 게임 체인저"

일본 제약회사 시오노기가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임상시험에 돌입하면서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 머크(MSD)와의 경쟁이 본격화했다.

2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시오노기는 자사가 개발한 1일 1회 투여용 코로나19 경구용(알약) 치료제가 이달부터 임상시험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임상시험은 내년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코로나19 백신이 각종 변이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백신 부족, 접종 거부 여론 등으로 인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과 도입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 제약사는 일본에서 진행하는 임상시험에 50~100명을 실험 참가자로 등록할 예정이다. 이 약은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서 자가 복제할 때 필요한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프로테아제’를 억제해 감염을 차단한다.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인체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치료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테시로기 이사오 시오노기 최고경영자(CEO)는 “우리의 목표는 독감 때 먹는 타미플루처럼 매우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알약”이라며 “이 치료제를 복용한 뒤 5일 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화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현재 미국에서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고 병원에서 사용 중인 코로나19 치료제는 다국적 제약사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렘데시비르, 리제네논의 항체치료제, 항염증제인 덱사메타손 등이 있다. 하지만 렘데시비르의 경우 병원에서 정맥주사로 투여해야 하고,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지난해 11월 세계보건기구(WHO)도 렘데시비르가 입원 환자들에게 “효과가 거의 없거나 아예 없다”며 사용 반대를 권고한 바 있다.  

 이런 이유로 제약사들은 코로나19 확진 판정 뒤 집에서 쉽게 복용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알약 개발에 눈을 돌리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현재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대형 제약사로는 화이자와 다국적제약사 MSD(미국 법인명 머크사)가 있다. 올해 안에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출시를 목표로 한 화이자는 2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항바이러스제 테스트를 준비하고 있다. 앞서 지난 6월 앨버트 보울라 화이자 CEO는 “임상 시험이 잘 진행되고 있다”며 “FDA의 승인을 얻는다면 올해 안에 미국에 보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머크사도 바이오벤처 리지백 바이오테라퓨틱스와 함께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의 임상시험 3상을 진행 중이다. 머크는 지난 4월 개발한 에볼라 치료제가 코로나19 바이러스양 감소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입원율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연방 보건부는 FDA 승인을 전제로 머크사의 치료제 170만 정을 12억 달러(약 1조 3800억원)에 선구매를 체결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