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우주정거장 밟은 첫 한국계 조니 김, 활짝 웃으며 "영광"

    한국계로는 처음으로 우주에 나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비행사 조니 김(41)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무사히 도착해 동료들의 환영을 받았다.

  • 한국계 조니 김 태운 러 우주선 성공적 발사…ISS서 임무수행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김(41) 등을 태운 러시아 우주선이 국제우주정거장(ISS)을 향한 첫 여정을 시작했다. NASA의 온라인 생중계에 따르면 조니 김을 태운 러시아의 소유즈 MS-27 우주선은 8일 오후 2시 47분(한국시간)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의 우주기지에서 발사됐다.

  • "챗GPT 안 썼다. 억울하다"…AI 역설

    "챗GPT를 사용한 적이 없는데 인공지능(AI) 생성률이 70%가 나왔어요. 안 썼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해야 하나요?". 서울 한 대학 사회학과 재학생 오모(22) 씨는 지난 1일 이렇게 말하며 황당해했다. 전공 수업 과제로 보고서를 작성해 제출했는데, 'AI 의심 문장이 많으니 주의하라'는 교수의 메일을 받았다는 것이다.

  • '지브리 변환' 열풍 속 日 저작권은 걱정해도 내 초상권은?

    오픈AI의 새 이미지 생성 모델을 써서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지브리 등의 화풍으로 사진 바꾸기가 유행하는 가운데 오픈AI로 넘어간 사진 속 인물의 초상권이나 AI 학습에 사용될 가능성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다. 화풍을 제공한 일본의 대표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 등의 저작권 문제에는 관심이 쏠린 바 있는데 이용자들의 개인정보 보호 문제는 유행 열풍 속에 묻혀있다는 지적이다.

  • '지브리 프사 해볼까'…이미지생성 열풍에 챗GPT 이용 역대 최다

    이미지 생성 모델을 앞세워 화제를 모으고 있는 챗GPT의 일간 이용자 수가 처음으로 120만명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역대 최다인 125만2천925명으로 집계됐다.

  • 대형 산불 나면 생태계 회복에 100년 걸린다?

    최근 경북 지역에 대형 산불이 발생하자 막대한 인명, 재산 피해와 더불어 산림 생태계 복원이 가능할지도 주목된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산불 관련 뉴스 댓글에는 최근 대형 산불과 관련해 "인공위성에도 관측될 정도로 초대형 산불이 났다", "이렇게 많은 숲이 타버리면 언제 다시 복원할 수 있겠냐?", "캘리포니아에서만 보던 대형 산불이 우리나라에서도 발생하다니" 등 망연자실한 반응이 적지 않았다.

  • 20억명 생존 위협하는'대재앙'엄습 공포

    기후 위기로 전 세계 빙하가 녹아내리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최소 수십억명이 식량 부족 등으로 생존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유네스코(UNESCO)는 21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최근 3년간 전 세계 빙하의 녹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이 기간 사라진 면적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 한미 합작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발사 성공…초기운영 돌입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한국천문연구원이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가 우주로 발사됐다. 스피어엑스는 12일 낮 12시 10분(현지시간 10일 오후 11시 10분) 미 캘리포니아주 밴덴버그 우주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 달 착륙하다 넘어진 美 민간 탐사선…결국 실패로 임무 종료

    미국 민간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무인 달 탐사선이 달 착륙 과정에서 넘어진 뒤 일어나지 못하고 결국 그대로 임무를 종료했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7일(현지시간)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무인 달 탐사선 '아테나'(노바-C)의 가동 중단을 선언했다.

  • "달 흙먼지 묻혔다"…달 탐사 새 이정표

    "(달에) 착륙했을 때를 포함해 모든 것 하나하나가 시계 장치처럼 정확했습니다. 우리는 달 흙먼지를 부츠에 묻혔습니다. ". 미국 우주기업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이하 파이어플라이)의 한국계 최고경영자(CEO) 제이슨 김은 이 회사의 무인 달 탐사선 '블루 고스트'(Blue Ghost)가 2일 달 착륙에 성공한 뒤 이렇게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