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주 별세한 할리우드 배우 다이앤 키튼의 사인은 세균성 폐렴으로 확인됐다고 미 언론이 16일(현지시간) 전했다.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공개된 키튼의 사망 증명서를 인용해 그가 원발성(다른 원인이 없는) 세균성 폐렴으로 숨졌다고 보도했다.
2025-10-17
-
"올초 LA 산불, 방화 잔불에서 확산"…20대 방화 용의자 기소
올해 초 미국 서부 최대 도시 로스앤젤레스(LA)에서 대규모 피해를 낸 여러 산불 중 1건이 방화에서 비롯됐다고 미 연방 검찰이 발표했다. 16일(현지시간) 미 법무부 산하 캘리포니아 중부지방검찰청에 따르면 연방 대배심은 지난 1월 LA '팰리세이즈 산불'을 일으킨 혐의로 용의자 조너선 린더크네흐트(29)를 전날 기소했다.
2025-10-17
-
'누드사진 생성' AI 도구에 피해 잇달아…美 10대 여학생 소송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나체(누드) 사진 생성 도구로 인해 실제 피해 사례가 잇따르며 사회적인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미국 뉴저지주의 10대 소녀가 AI 이미지 생성 소프트웨어 '클로드오프'(ClothOff) 개발사인 'AI/로보틱스 벤처 스트래티지 3'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고 전했다.
2025-10-17
-
미국 여권으로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는 국가 수를 의미하는 '여권 파워' 순위가 사상 처음으로 10위권 밖으로 밀렸다. 14일 CNN 방송에 방송에 따르면 영국의 해외 시민권 자문 업체 헨리앤파트너스가 공개한 '헨리 여권 지수'(Henley Passport Index) 2025년 세계 여권 순위를 인용해 미국의 여권 파워가 12위라고 보도했다.
2025-10-17
-
가주, 내년부터 저가 인슐린 판매...3ml 인술린 5팩 55달러 미만
당뇨병으로 고생하는 캘리포니아주의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나왔다. 가주정부가 내년부터 저가에 인슐린을 보급하는 조치를 취해서다. . 16일 폭스 뉴스와 KTLA에 따르면 가주정부는 내년 1월1일부터 가주 내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자체 프로그램으로 지원하는 저가 인슐린 펜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2025-10-17
-
1센트 생산비용 3. 7센트, 만들면 손해. 올해 초 연방 재무부가 1센트 동전인 '페니'의 생산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미 전역의 소매업체들이 잔돈 부족으로 불편을 겪고 있다. 15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전국편의점협회와 전국식료품점협회 등 주요 유통 단체들은 최근 연방 의회에 서한을 보내 매장 내 동전 부족에 대한 명확한 지침 마련을 촉구했다.
2025-10-17
-
미국의 한 스타트업이 같은 무게의 강철보다 단단하면서 가벼운 목재를 개발했다고 최근 CNN이 보도했다. 미국 스타트업 인벤트우드(사진)에서 상업용으로 출시한 목재 '슈퍼우드'(Superwood)는 강철보다 무게 대비 강도가 최대 10배에 달하고, 최대 6배 더 가볍다.
2025-10-17
-
시카고 컵스 응원에 "근데 졌잖아요"...교황 레오 14세 '유쾌 응수'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시카고 화이트삭스 팬으로 알려진 교황 레오 14세가 지역 라이벌 팀인 시카고 컵스 팬을 살짝 놀렸다. 화이트삭스 구단 소셜 미디어는 16일 릫우리 교황님릮이라는 글과 함께 동영상 하나를 게시했다.
2025-10-17
-
미국 '여권 파워', 처음으로 10위권 밖으로…한국은 2위 유지
미국이 여권만 있으면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는 '여권 파워' 순위에서 처음으로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고 미국 CNN 방송이 보도했다. 영국의 해외 시민권 자문 업체 헨리앤파트너스가 지난 14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공개한 '헨리 여권 지수'(Henley Passport Index) 2025년 세계 여권 순위에 따르면 미국인은 현재 180개국에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 여권 파워 순위에서 말레이시아와 함께 12위를 기록했다.
2025-10-16
-
미국 알래스카에서 태풍 할롱으로 피해를 본 해안 지역 주민을 대피시키기 위한 대대적인 항공 구조 작전이 펼쳐졌다고 AP통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태풍 할롱이 알래스카 저지대 킵눅과 크위길링녹 지역을 휩쓸고 지나가며 인명 피해와 주택 유실 등이 발생했다.
2025-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