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리얼 베이비돌' 가상 육아에 푹 빠졌다 

    23살난 미국 여성 켈리 메이플은 사랑하는 딸 나오미를 카시트에 앉히고 쇼핑몰에 도착해 고급 유모차에 태웠다. 메이플은 머리핀을 하고 원피스를 입은 채로 유모차에 누워있는 나오미와 웃으며 아기 옷 쇼핑을 즐겼다. 지나가는 사람들 대부분은 이런 모습을 평범한 모녀들의 일상으로 착각하지만, 현실을 알면 경악할 수도 있다.

  • '광복 80주년' 기념 음악회

    남가주 한인 음악가들로 구성된 한인 음악단체인 LAKMA(라크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및 코랄(이사장 최승호 지휘 윤임상)가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되새기는 기념 음악회를 개최한다. '한국의 정신'(Sprit of Korea)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기념 음악회는 오는 8월2일 오후 7시 타운타운 월트디즈니 콘서트 홀에서 열린다.

  • K-팝의 힘…"중국어 대신 한국어 배운다"

    미국과 유럽에서 중국어의 인기가 한국어에 밀려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경제 부진과 안 좋은 국가 이미지가 중국어에 대한 관심을 떨어뜨리고 있는 반면, 케이팝의 영향으로 한국어의 인기는 더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 "잠자지도 늙지도 않는 아이돌…" WSJ '케데헌' 돌풍 조명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돌풍 속에서 가상의 아이돌이 인간 아이돌의 인기를 넘어서는 시대를 열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시간) 진단했다. WSJ은 "K팝에서 가장 큰 이름은 BTS가 아니다.

  • 외로운 식탁의 그림자 '먹방'…"우울증 불씨 될 수도"

    '혼밥'의 시대에 화면 속 누군가와 함께 식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수북이 쌓인 음식을 맛있게 먹는 모습을 지켜보며 대리 만족을 느끼는 것이다. 바로 '먹방'(먹는 방송)의 풍경이다. 그러나 이렇게 시작된 일상적 위안이 때로는 깊은 정서적 고립을 부추기고 우울증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美 상반기 CD판매  'K팝 돌풍'

    올해 상반기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실물음반(CD Albums) '톱 10' 가운데 절반이 K팝 아이돌 그룹의 앨범으로 나타났다. 16일 미국 엔터테인먼트 데이터 조사업체 루미네이트의 2025 상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그룹 스트레이 키즈의 '합'(合·HOP)이 14만9천장으로 2위에 올랐다.

  • 男 '서준', 女 '서연'

    현재 가장 인기가 높은 아기 이름은 뭘까. 최근 추세를 보면 남자 아이 이름은 릫서준릮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민준', '도윤', '예준', '하준' 등의 순이다. 이어 릫시우릮, 릫지호릮, 릫주원릮, 릫지후릮, 릫도현릮 등이 톱 10에 올랐다.

  • 우리나라 자녀 이름 몇 자까지 가능할까

    1970년대 코미디언 구봉서는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삼천갑자 동방삭…'같은 긴 이름과 관련된 코미디 대사로 인기를 끌었다. 과거에는 실제로 이런 긴 이름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불가능하다. 대법원이 최근 규정을 개정해 외국인과 한국인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의 이름에 글자 수 제한을 없앴지만 부모가 모두 한국인인 경우 글자 수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 '오징어 게임' 시즌2, 올해 美 에미상 후보 지명 불발

    에미상 최다 후보작은 애플TV+의 '세브란스: 단절'(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넷플릭스의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 시즌2가 올해 미국 최고 권위의 방송 시상식인 에미상 후보에 지명되지 못했다. 15일(현지시간) 미국 TV예술·과학아카데미의 제77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 후보 발표에서 '오징어 게임'은 드라마 시리즈 작품상 등 부문의 후보 명단에 들지 못했다.

  • "화장실이 제일 행복합니다"

    화장실이 휴식처로 각광을 받고 있다. 화장실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며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이른바 '화장실 캠핑'과 '화캉스'(화장실+바캉스)로 불리는 새로운 트랜드가 미국과 한국의 Z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화장실이 자극적인 세상을 피해 홀로 휴식할 수 있는 일종의 안식처로 인식되고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