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어서는 안될, 범죄 수준 시설물
착륙 자체 안정적, 둔덕 없었다면"
국토부 "여수, 경주 등도 콘크리트"

전남 무안 제주항공 참사 자료를 본 일부 해외 전문가는 활주로 끝 콘크리트 둔덕에 의문을 제기했다. 착륙 자체는 안정적이었기 때문에 이 둔덕이 없었다면 여객기가 활주로를 좀 더 달려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견해다.
29일 영국 매체 스카이 뉴스는 항공 안전 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와 인터뷰를 보도했다. 플라이트 인터내셔널 매거진의 편집자인 리어마운트는 영국 공군에서 조종사이자 비행 강사로 근무했으며 영국 왕립 항공학회에서 최우수상을 두 차례 수상한 항공 문제 전문가다. 리어마운트는 "콘크리트 둔덕은 그 자리에 있어야 할 정당한 이유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위치에 둔덕이 있다는 건 범죄행위에 가깝다"며 "그런 종류의 구조물은 그곳에 있어선 안 된다"고 분석했다. 그는 여객기와 둔덕의 충돌이 이번 참사의 결정적 순간이라고 봤다.
그는 "상황을 고려할 때 조종사는 아주 훌륭하게 비행기를 착륙시켰다. 비행기가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었지만, 땅을 미끄러지듯 내려왔다"며 탑승자들이 생존할 가능성은 높았다고 봤다고 말했다.
여객기가 충돌한 구조물은 흙으로 된 둔덕 상부에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가 설치돼 있었다. 이는 야간이나 시야가 좋지 않을 때 조종사가 착륙할 수 있도록 돕는 계기 착륙 시스템(ILS)의 일부로 로컬라이저(Localizer)라고 불린다. 활주로 끝에서 전파를 보내 항공기가 활주로 중심선에 맞춰 착륙과 주행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로컬라이저는 철골 구조물로 설치한다. 만에 하나 항공기가 활주로를 통과해 로컬라이저까지 닿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다. 
리어마운트는 "만약 비행기가 둔덕에 부딪히지 않았다면 주변 울타리를 뚫고 도로를 지나 인접한 들판에 멈췄을 것"이라며 "(둔덕 너머에) 비행기가 속도를 늦추고 멈출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견도 있다. 또 다른 항공 전문가 샐리 게힌은 역시 둔덕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지만 설령 둔덕이 없었다 하더라도 승객 모두가 생존하긴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게힌은 "(비행기가) 속도를 유지하는 것 같았기 때문에 활주로 끝에 더 많은 공간이 있었다면 (더 큰) 재앙으로 끝날 수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국토교통부는 이 둔덕에 대해 "여수공항과 포항, 경주공항 등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방위각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방위각 시설을 어떤 토대 위에 놓느냐는 공항별로 다양한 형태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정해진 규격화된 형태는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