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1000명 인력 준비 지시, 500명은 경호처 지휘부 체포에…경호처 화기 사용 징후 땐 후퇴
현행범 체포·분산 호송계획, 장기전도 대비
"체포 협조자 선처"내부균열 노린 회유책도
"총, 칼등 써서라도 방어" 소문에 긴장 고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2차 집행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경찰이 '장기전' 대비에 착수했다.
인명피해나 유혈사태 없는 영장 집행을 최우선으로 하되 대통령경호처 저지 등에 가로막힐 경우 최장 2∼3일에 걸친 체포 작전까지 준비하는 것이다.
서울·경기남부·경기북부청 형사기동대장 등 광역수사단 지휘부는 13일 오후 3시부터 서울청 마포청사에 모여 체포영장 집행과 관련한 2차 회의를 열었다.
형사 1천명 안팎이 동원되는 대규모 작전인 만큼 차벽, 철조망 등으로 요새화가 이뤄진 한남동 관저에 진입하기 위한 구체적 작전 계획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14일 오전 3차 회의를 갖고 체포 작전을 추가 논의했다. 일각에서는 3차 회의 결과를 토대로 이르면 15일(한국시간) 집행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경찰은 1000여 명에 달하는 인력 준비를 지시했다. 지난 3일 1차 집행 때보다 8배 늘어났다. 이중 절반 가량인 500여명은 대통령경호처 지휘부를 체포하고, 경호처 인력을 진압하는 임무를 맡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지난 3일 윤 대통령 체포 영장 1차 집행 당시 경호처·수방사 요원들이 경찰·공수처 체포팀과 몸싸움까지 불사할 만큼 강경 대응한 배후엔 김성훈 차장 등 경호처 지휘부가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경호처장 직무대행인 김성훈 차장이 무력 사용 불사 방침 등 강경 대응을 주도하고, 윤 대통령이 경호처 간부들에게 "총은 안 되더라도 칼이라도 휴대해 무조건 막으라"고 했다는 야권 주장까지 나오면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경찰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다시 말씀드리지만,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서 영장을 집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경호처를 향한 심리전도 이어가고 있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출석해 "(경호처가) 무력을 사용해 방해하는 행위는 현장 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별수사단은 영장 집행을 저지하는 경호처 직원들을 현행범 체포한 뒤 복수의 경찰서로 분산 호송해 조사할 계획도 공개했다.
동시에 영장 집행에 협조하는 직원만큼은 선처할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히며 경호처 내부 균열을 이용한 사전 '방어막 허물기'에 나선 모양새다.
아울러 국회의원이더라도 영장 집행을 방해한 것이 명확하다면 현행범 체포가 가능하다고 경고했다. 관저 인근에 형성될 '인간 저지선'까지 염두에 둔 전략이다.
경호처도 이날 공지를 통해 국수본 관계자에 관저 내부 기밀을 유출한 혐의를 받는 간부를 대기 발령했다고 밝히면서 반격에 나섰다.
특별수사단은 이에 대해 무대응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경호처가 의도한 여론전에 휘말리지 않고 적법절차 검토를 이어가겠다는 게 경찰 내부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