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시 맨해튼 혼잡통행료 전격 폐지 트럼프

민주당 주지사 정책에'중단'통보
"주정부 권한 과도하게 침해" 논란

지난달 20일 재집권 후 국내외적으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며 ‘권위주의 정부’ 논란을 낳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개별 주(州) 차원의 정책에까지 개입해 논란을 낳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야당 민주당 소속의 캐시 호컬 뉴욕 주지사가 지난달 5일부터 실시한 뉴욕시 맨해튼의 ‘혼잡 통행료’를 폐지시키겠다고 19일 밝혔다. 특히 이 정책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자신을 ‘왕(king)’이라고 칭하고 왕관까지 쓴 게시물(사진)을 백악관 ‘X’에 올려 또 다른 논란을 야기했다.
숀 더피 교통장관은 이날 호컬 주지사에게 서한을 보내 “혼잡 통행료 징수를 중단시키겠다”고 통보했다. 
뉴저지주 등에서 맨해튼에 진입하는 차량은 주요 시설이 몰린 맨해튼 60번가 아래쪽으로 진입할 때 9달러의 혼잡통행료를 내야 한다. 이 구역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소유한 ‘트럼프타워’도 있다. 호컬 주지사는 맨해튼의 과도한 교통 정체를 개선하겠다며 이 제도를 도입했지만 통근자에게 과도한 재정적 부담을 준다는 반발이 적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트루스소셜에 “혼잡통행료는 죽었다. 맨해튼과 뉴욕 전체가 구원받았다”며 “왕이여 영원하라!(Long live the king!)”라고 썼다. 백악관 또한 ‘X’에 트럼프 대통령이 금색 왕관을 쓴 사진과 같은 문구를 넣은 게시물을 올렸다.
연방제를 택하고 있는 미국에서 50개 주는 고유의 입법·사법·행정권을 보장받으며 개별 국가와 맞먹는 수준의 높은 독립성을 보장받는다. 이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가 주 정부의 권한을 과도하게 침해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