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형 당노병 환자'..."완치 불가" 절망감 탓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는 1형 당뇨병은 완치가 어려워 환자들의 절망감이 크다. 1형 당뇨병 환자의 자살 위험이 암환자에 비해 1.8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에서 1형 당뇨병 환자의 자살위험을 분석해 이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9~2015년 19세 이상 성인 중 1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뒤 1년 내 인슐린 처방 3회 이상, 2년 내 추가 인슐린 처방 기록이 있는 4만59448명을 대상으로 추적관찰을 통해 자살로 사망하거나 자살 시도로 입원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1형 당뇨병 환자는 10만 인년당 252.89건, 암환자에서는 141.44건이 집계됐다. 1인년은 한 명을 1년 동안 관찰했다는 뜻이다.
연구 결과 1형 당뇨병 환자가 자살을 시도해 입원하거나 실제 사망에 이를 위험은 일반 인구에 비해 2배, 암환자에 비해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는 병이다. 근본적인 치료법이 아직 없는 상태라 완치가 어렵고 평생 인슐린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자살 위험이 높은 것은 완치가 불가능하다는 절망이 미친 영향이 크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