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라인/알고갑시다]
여럿이 쓰는 운동기구 닦지않고 사용, 피부에 붉은 발진
곰팡이균 전염'백선증'…수영장, 체육관서도 곳곳 위험
40대 미국 여성이 헬스장에서 기구를 이용해 운동하다 백선증에 걸린 사연이 전해졌다. 백선은 진균류(곰팡이균)로 분류되는 피부사상균에 의해 피부에 감염을 생긴 것을 이른다. 백선이라는 이름은 감염된 부위가 흰색을 띠기 때문에 붙여졌다.
10일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메릴랜드주 실버스프링 출신의 제이미 삼낭(41)씨는 지난해 9월 헬스장에서 운동을 마친 후 집에 도착한 지 몇 시간 만에 가려움증을 느꼈다.
그는 "가벼운 따끔거림과 가벼운 가려움을 느끼기 시작했다"며 "모기에게 물린 줄 알았는데 연고를 발라도 소용없었고 날이 갈수록 심해졌다. 가려움이 너무 심해서 피가 날 때까지 긁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가려운 부위에 물집이 생겼고 발진은 다리와 발목까지 퍼졌다.
병원에서 검진받은 결과 의료진은 삼낭이 전염성이 강한 백선에 걸렸다고 진단했다. 의료진은 그녀에게 직장이나 헬스장에 가거나 침대에서 남편과 함께 자는 것도 피하라고 조언했다.
그녀는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3주 동안 하루에 세 번씩 항진균 크림을 발랐고, 소지품도 살균했다. 그는 "상태가 정말 심해서 출근도 못 했다. 보통 일주일에 5일씩 헬스장에 갔는데 한 달 동안 가지 못했다"고 했다.
그녀는 헬스장에서 기구를 닦지 않고 운동 기구에 맨팔을 올린 것이 백선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의료진이) 헬스장은 덥고 습하기 때문에 백선의 주요 발병 장소라고 했다"며 "진균이 번식하기에 완벽한 서식지"라고 했다.
삼낭은 "운동할 때 짧은 소매나 스포츠 브라를 입었지만 지금은 긴 소매만 입는다"면서 헬스장 이용자들에게 운동 장비를 사용하기 전과 후에 꼭 닦을 것을 강조했다.
백선은 신체 부위 어디에서든 생길 수 있지만, 특히 ▲얼굴 ▲목 ▲가슴 ▲배 ▲다리에서 자주 발생한다.
백선은 피부사상균이라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곰팡이는 습기와 따뜻한 환경을 선호하며, 사람이 직접 접촉하거나 공용 물건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 ▲공중목욕탕 ▲체육관 ▲수영장 등에서는 감염이 쉽게 퍼질 수 있다. 또한, 환자와의 피부 접촉이나 오염된 수건, 의류를 공유할 때도 백선에 걸릴 위험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