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2일부터 모든 수입車에 25% 관세…글로벌 관세전쟁 전선 확대, 수출 1위 한국 직격탄 

[뉴스인뉴스]

"연 1천억불 세수증가, 해방의 날 될것"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모든 국가 상대" 
경량 트럭·의약품·목재에도 관세 부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6일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에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오는 4월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대상은 모든 외국산 자동차와 핵심부품이지만, 주로 한국, 일본, 유럽, 멕시코, 캐나다에서 생산된 자동차와 핵심부품이 타깃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써 트럼프발 글로벌 관세전쟁의 전선이 더욱 확대되게 됐다.
특히 자동차가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한국으로선 큰 타격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 집무실 기자회견에서 “지난 수년 동안 우리 나라에서 일자리와 부(富)를 빼앗은 나라들에게 비용을 청구할 것” “우방국이 적국보다 훨씬 우리를 나쁘게 대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자신이 상호 관세 부과를 예고한 다음 달 2일을 ‘해방의 날’이라 표현하며 “매우 공정하고 관대해서 (다른 나라들이) 놀라게 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로 연간 1천억 달러(약 147조원)의 세수 증가를 기대한다"고 말하면서 관련 포고문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관세 부과 시기에 대해 "오늘 행정명령에 사인하고 4월 2일부터 발효된다. 4월 3일부터 관세를 걷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힌 뒤 "(관세를 부과하기 위해) 매우 강력한 단속을 실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포고문은 미 동부시간 기준으로 4월3일 0시1분부터 부과한다고 적시했다.
포고문은 또 이번 25% 관세가 자동차(세단·SUV·크로스오버·미니밴·카고밴)와 소형트럭뿐 아니라 엔진과 변속기, 파워트레인, 전기 등 자동차 부품에도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미국은 모든 무역 상대국에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과 철강·알루미늄으로 만든 파생상품에 지난 12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월 2일 미국에 대한 관세율과 비관세장벽 등을 두루 고려해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계획을 재확인하면서 "모든 국가"를 상대로 부과하겠다며 예외를 두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최근 상호관세 부과 대상국에 예외가 있을 것임을 시사했지만, 이날 다시 입장을 바꾼 것이다.
한국의 경우 자동차가 대미 수출품 가운데 가장 비중이 커서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작년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규모는 347억4천400만 달러(약 51조원)에 달하며, 이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자동차 수출 규모(707억8천900만 달러)의 거의 절반( 49.1%)을 차지했다.

'美 경제 부정적'경고도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부과가 미국 자동차 제조업 부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경고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우선 미국에 제조공장을 갖고 있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 역시 전 세계에서 부품을 조달하고 있기 때문에 완성차 판매 가격이 올라가면서 소비자에게 부담을 키울 수 있고, 이는 판매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