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도 하락…이틀간 주가 변동성 팬데믹·금융위기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교역상대국에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지만, 전 세계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월가를 강타하면서 미국 자산시장에서 자금이 급속도로 빠져나가고 있다.

높은 관세 자체도 문제지만 부과와 철회가 반복되는 데다 주먹구구식 관세율 계산, 중국과의 대결 격화 등이 미국 정책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렸다는 평가다.

트럼프 대통령이 금융시장 붕괴를 막기 위해 관세 유예를 발표하면서 지난 9일(이하 현지시간) 뉴욕 주식시장이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였으나 하루도 안 돼 10일에는 다시 급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3.5% 떨어졌고, 전날 숨 고르기 하던 미국 장기 국채 금리는 다시 급등(=채권값 하락)했다.

달러화 가치도 미국 자산시장 매도세가 일어나면서 사흘째 하락했다. 대신에 안전통화로 여겨지는 스위스프랑의 경우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경기침체 우려에 국제 유가도 내림세를 이어갔다.

최근 이틀간의 뉴욕 증시 변동성은 팬데믹이나 2008년 금융위기 당시와 버금가는 수준으로 평가된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혼란스러운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를 급속히 약화시키고 있으며, 향후 3개월 동안 시장을 불안에 떨게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스미드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빌 스미드 최고투자책임자는 "이 사태가 끝나고 우리가 행복한 일상으로 빨리 돌아갈 가능성은 매우 낮다. 지금은 엄청난 약세장의 시작이다"라고 말했다.

미국 고위험 채권 펀드의 자금 유출도 역대급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데이터 제공업체 LSEG 리퍼 자료를 인용,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일주일간 미국 고수익·고위험 채권 펀드에서 96억 달러, 레버리지론 펀드에서 65억 달러의 자금이 빠져나갔다고 보도했다. 모두 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 유출이다.

관세전쟁으로 경제 리스크가 확대되자 투자자들이 현금자산으로 대거 몰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위험도가 높은 채권의 경우 발행자의 재정 상황이 열악하기 때문에 경제적 어려움에 금방 노출된다.

월가에서는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몰라 주식, 채권, 원자재 가격 전망도 하기 어려워졌다고 말한다.

보케 캐피털 파트너스의 킴 포러스트 최고투자책임자는 "신흥 시장에서도 어떤 정책이 펼쳐질지 알 수 있지만 미국에서는 더 이상 최우량 기업에 대해 기본적인 분석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미국발 무역전쟁은 공급망 붕괴, 국경 간 무역 감소,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인한 물가 상승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경제침체 우려도 확산하고 있다.

리서치 어필리에이츠의 퀘 응우옌 최고투자책임자는 "무역전쟁은 결국 경기침체를 초래할 것"이라면서 "(대통령은) 공황이 오기 전까지는 물러서지 않을 것이므로 지금 주가는 합리적으로 그런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TCW 그룹의 글로벌 금리 책임자 제이미 패튼은 "최악의 상황이 지나갔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위험 자산은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것이 현 정부가 만드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주종국 기자 sat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