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후보의 발표 시점은 우연이 아니다. 이는 미국에서 탈중앙화 금융과 디지털 자산 관리에 대한 규제 환경을 재정립한 일련의 대규모 입법 조치가 시행된 직후였다.

홍 후보의 비전은 특히 트럼프가 철폐한 IRS 디파이 브로커 규정을 모델로 삼고 있다. 미국에서는 하원 공동 결의안 25호가 ‘브로커’라는 용어의 범위를 디파이(DeFi)에서 활동하는 주체들까지 확대하는 조항을 폐기했다. 만약 해당 규칙이 유지되었다면, 디파이 플랫폼은 IRS의 감시 하에 사용자 거래를 추적하고 보고해야 하는 과도한 의무를 지게 되었을 것이다.

비판자들은 해당 규정이 기술 인프라 제공자와 수탁 금융 중개 기관을 혼동함으로써, 디파이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프라이버시 구조를 훼손할 수 있다고 경고해왔다. 현재 이 규정이 폐지됨으로써 중개자 없이 운영되는 플랫폼은 제3자 세금 보고 의무에서 면제되었다. 홍 후보는 이 같은 입법 변화가 단순한 외국의 국내적 발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국에서도 유사한 개혁을 위한 기능적 템플릿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와 병행하여, 암호화폐에 대한 투기적 관심 역시 고조되고 있다. 도지코인, 시바이누 같은 초기 코인부터 최근의 페페, 도그휩햇 같은 토큰까지, 이들은 초기 참여자에게 과도한 수익성과 높은 변동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고위험·고수익 특성은 일반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이에 따라 사전 판매 방식부터 중앙화 거래소 상장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설명하는 가이드와 교육 콘텐츠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밈코인 사는 법 가이드를 찾는 사람들은 이제 2025년 최신 밈코인 구매 과정을 A부터 Z까지 안내받을 수 있다.

미국의 규제 완화 영향은 브로커 규칙 폐지에 그치지 않았다. 2025년 1월, 트럼프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개발과 관련된 모든 기존 행정 지침을 철회하는 행정명령 14178호에 서명했고, 이에 따라 디지털 자산을 위한 연방 프레임워크를 마련할 새로운 태스크포스가 180일 이내 수립될 예정이다.

해당 명령은 연방 관할의 비트코인 준비금 신설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변동성 조절이 아닌 비트코인을 전략적 금융 수단으로 인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정책 변화는 디지털 자산을 주변적 도구에서 국가 전략의 공식 구성 요소로 재위치시킨 것이다. 홍 후보 캠프는 이를 주권 수준에서의 블록체인 시스템 참여의 이정표로 해석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유사한 국가 지원 프로젝트를 모색할 계획이다. 단, 변동성 자산을 국가의 공식 준비금에 편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한국은행이 여전히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홍 후보의 캠페인은 암호화폐 규제 완화뿐 아니라 블록체인의 정부 서비스 통합도 핵심 목표로 삼고 있다. 그의 공약은 신분 인증, 공공 조달 물류 체계, 기록 관리 등 몇몇 공공 서비스 분야에 블록체인 인프라를 핵심 요소로 배치하는 점진적 도입 계획을 담고 있다.

이 전략은 단순히 신기술 채택이 아닌, 감사 가능성과 거래 무결성이 현재 파편화된 레거시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되는 영역에 불변의 장부를 도입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5개년 로드맵은 AI, 블록체인, 양자 컴퓨팅 개발에 약 50조 원(약 350억 달러)을 투자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한국을 단순한 참여국이 아닌 글로벌 기준을 선도하는 핵심 국가로 재정립하겠다는 포부를 담고 있다. 공공 부문 채택은 이를 입증하는 초기 실험장이 된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이 개편안은 한국은행과의 견해 차이가 뚜렷하다. 한국은행은 여전히 비트코인이나 기타 암호화폐를 외환보유액에 포함시키는 방안에 반대하고 있으며, 이는 자산의 변동성, 유동성의 일관성 부족, IMF가 설정한 준비자산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자산 분류 문제 등을 이유로 들고 있다.

이 기준은 가격 안정성, 깊고 신뢰할 수 있는 이차 시장, 관련된 국가 신용등급 등을 요구하는데, 현재 암호화폐는 이를 충족하지 못한다는 것이 한국은행의 입장이다. 이는 기술 혁신과 무관하게, 제도는 여전히 법정 화폐 기반의 보수적 모델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주요 기관 투자자 중 일부는 이미 디지털 자산 분야에서 탐색적 역할을 수행 중이다. 세계 최대 펀드 중 하나인 국민연금은 블록체인 기술의 내부 준수 절차, 보고 정확성, 거래 투명성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를 내부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공공 기록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일부 상장 암호화폐 거래소에 투자한 바 있으며, 이는 중앙은행의 공식 입장과는 다른 전략적 입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미묘한 차이는 홍 후보가 집권 후 정책을 추진할 때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국민연금 같은 투자 기관의 지지는 한국은행의 지지가 없어도 실질적인 동맹이 될 수 있다.

여론은 여전히 엇갈린다. 한국에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일반 투자자들의 참여율은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전면적인 규제 완화에 대한 지지는 보편적이지 않다.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와 관련된 과거 스캔들은 고령층, 규제 전문가, 정책 분석가들 사이에 경계심을 남겼다.

따라서 홍 후보의 공약은 매우 미묘한 균형 위에 있다. 한쪽에는 규제가 과도하게 가혹하고 구조적으로 낡았다고 보는 블록체인 개발자, 핀테크 창업자, 시장 참여자들이 있으며, 다른 한쪽에는 기술 중심적 열정보다는 금융.

[This is sponsored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