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미제 의문의 ‘홉스골 소녀 살인 사건’

 

[몽골]

유력 용의자 증거 불충분 체포 못해

실종장소서 5년 지난 훼손 유골 발견

뼈의 DNA 채취 분석 사건 해결 물꼬

 

2018년 8월, 몽골 홉스골주의 한 산에서 양을 치던 13세 소녀 A 양이 돌연 실종됐다.

사건 직후, 경찰과 주민으로 구성된 150명 규모의 수색팀이 2주 간 수색에 나섰지만 끝내 소녀의 흔적을 찾지 못했다. 애초에 경찰은 한 인물을 유력한 용의자로 의심했다. 같은 마을에 살던 B 씨로, 과거 강간죄로 두 차례 복역한 전과가 있는 남성이었다.

경찰은 수사 초기에 실종 장소에 남아 있는 오토바이 바퀴 자국을 따라가 봤지만 인근 숲에서 흔적이 끊겨 범인을 찾지 못했다. 그런데 B 씨가 사건 당일 인근에서 오토바이를 타고 이동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경찰은 그를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했다.

하지만 B 씨는 범행을 완강히 부인했다. 게다가 시신조차 발견되지 않은 상황에 결정적 증거가 부족했다. 결국 경찰은 증거 불충분으로 사건을 미제로 남길 수밖에 없었다.

이 사건은 사건 발생 5년 후인 지난 2023년 5월 실종 장소 인근에서 소녀의 것으로 보이는 두개골이 발견되면서 전환점을 맞았다. 하지만 5년이 지나 유골이 많이 훼손된 탓에 신원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때 한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가 사건 해결의 물꼬를 터줬다. 뼈에서 유전자(DNA)를 채취해 분석하는 기술을 전수한 것이다.

몽골 국과수는 이 방법으로 뼈에서 유전자를 확보했다. 이어 A 양 유가족과 비교해 가족관계가 맞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수사에 힘을 입은 몽골 경찰은 재현 실험을 통해 유골 발견 장소가 용의자의 동선과 일치함을 찾아냈고 경찰은 곧바로 B 씨를 범인으로 특정해 체포했다.

체포 직전까지 B 씨는 유가족과 같은 마을에 계속 머무르며 일상생활을 해왔다. 심지어 유가족을 찾아와 사건이 미제로 남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결국 홉스골주 법원은 재판을 진행, B 씨에게 미성년자 강간 살인죄로 종신형을 선고했다.

이 사건 해결의 계기가 된 한국의 과학수사 기술은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통해 몽골,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등에 전수되고 있다. 특히 유전자, 마약, 디지털 분석 분야에서 과학수사의 지형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홉스골 사건 외에도 몽골의 대표적 미제사건인 ‘도르노고비 실종사건’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