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미국 출신 레오 14세 교황, 즉위 100일

 

[이·사·람]

"논쟁 피하는 스타일로 전임교황 차별화"

"교황청에 평온·절제 분위기 복귀" 평가

 

지난 5월8일 제267대 교황으로 선출된 레오 14세(사진)가 16일로 즉위 100일을 맞았다
전임 프란치스코 교황이 즉위 직후 파격적인 결정을 쏟아냈던 것과 달리 레오 14세 교황은 자신의 후임을 포함한 주요 인사를 9월 이후로 미루는 등 조용하고 신중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는 자신에게 부여된 최고의 권한을 즉각 행사하기보다는 추기경단 회의와 각 부서 책임자와의 면담에 집중하며 내부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아직 공식 해외 방문도 하지 않았다.

교황은 지난주 일본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80주년에는 국제사회에 핵무기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추구할 것을 당부했다.
과거 프란치스코 교황이 핵무기 보유 자체를 "부도덕하다"고 선언해 논란을 빚었던 것과 달리 레오 14세 교황은 논란이 될 수 있는 발언을 최대한 자제하고 정제된 메시지를 전파한다.

AP 통신은 레오 14세 교황이 즉위 100일간 논란을 피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며 "프란치스코 교황 재위 기간의 때로는 격동적이었던 12년 이후, 교황직에 일종의 평온함과 절제된 분위기가 돌아왔다"고 평가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즉위 직후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로부터 동성애자 사제에 대한 질문을 받고 "내가 누구를 정죄하리오"라고 말해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같은 교황의 즉흥적인 발언은 포용성과 자비의 메시지로 주목받았지만 동시에 보수 진영의 반발도 불렀다.

이에 반해 레오 14세 교황은 지금까지 즉흥적이거나 돌출적인 발언 없이 준비된 원고에 기반한 공식 메시지를 중심으로 소통하고 있다.
사상 최초의 미국 출신인 레오 14세 교황이 논쟁을 피하고, 경청하며, 신중하게 다음 단계를 준비하는 그의 모습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역동적이고 예측 불

가능했던 교황직 이후, 교회가 잠시 숨을 고르고 안정을 찾기를 바라는 많은 이들의 바람에 부응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AP는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