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수입시장서 7위→10위 '뚝'…1∼7월 韓 비중 3.7%
[대만에도 역전 당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의 여파 속에서 한국의 미국 수입 시장 내 입지가 주요 경쟁국보다 눈에 띄게 약화했다.
8일 한국무역협회가 미국 상무부 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미국의 10대 수입국 순위에서 한국은 10위를 나타냈다. 이 기간 미국은 한국에서 756억달러어치 상품을 수입했다. 이는 미국의 전체 수입액 중 3.7% 수준이었다.
같은 시기 한국보다 앞선 미국의 1∼9위 수입국은 멕시코(15.0%), 캐나다(11.2%), 중국(9.4%), 베트남(5.2%), 대만(4.9%), 아일랜드(4.6%), 독일(4.5%), 일본(4.2%), 스위스(4.2%)였다. <그래프 참조>
한국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하기 직전인 작년 4.0% 비중으로 7위를 차지했지만 올해 10위로 밀려나 3단계나 미끄러졌다. 이는 무역협회가 관련 자료를 분석해 관리하는 198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한국은 2009년부터는 15년간 꾸준히 6∼7위 자리를 지켜왔다.
한국의 미국 수입 시장 내 급격한 순위 하락은 트럼프 행정부의 전면적인 관세 정책의 부정적 영향을 경쟁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작년 한국보다 순위가 낮았던 대만, 아일랜드, 스위스가 올해는 한국을 추월했다.
특히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부문에서 한국과 경쟁하는 대만의 순위가 지난해 8위(3.6%)에서 올해 5위(4.9%)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제조 산업과 무역에서 한국과 구조가 유사한 일본 역시 지난해 5위에서 올해 8위로 순위가 밀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