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출 본격화, 계란값 한달새 11% 훌쩍…'월 1억개'확대 요청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뉴스인뉴스]
개학 등으로 계란 수요 증가
수출 개시로 수급 빡빡해져
물가 걱정에 수출 확대 난색
"매주 66만알 수출" 검토 중
'계란 전쟁'을 겪고 있는 미국에 한국 계란 수출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때문에 자칫 한국의 계란 값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전망에 유통업계가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한국내 계란값이 최근 한 달 새 10% 넘게 오르며 큰 폭의 상승세를 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학 등으로 국내 계란 수요가 크게 증가한 데다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여파로 계란값이 치솟은 미국에 수출이 본격화하면 가격이 더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탓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특란 30구 평균 도매가는 지난 21일 기준 5193원으로 한 달 전(4660원)보다 11.4% 올랐다. 소비심리가 전반적으로 악화한 가운데 축산물 중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계란을 찾는 소비자가 많아졌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지난해 4분기 주요 대형마트 계란 매출과 판매량은 전년 대비 각각 7.4%, 5.4% 늘었다. 이달 들어선 초·중·고교와 대학교가 개학해 급식 수요가 증가한 것도 영향을 줬다.
이런 가운데 충남 아산에 있는 계림농장은 지난 7일 컨테이너 1개 분량인 특란 20t(약 33만 알)을 처음 미국에 수출했다. 20일에는 충북 충주에 있는 무지개농장이 두 번째로 특란 20t을 미국행 배에 실었다.
AI 확산으로 계란이 부족해진 미국은 한국에 더 많은 계란 수출을 요구하고 나섰다.
브룩 롤린스 미국 농무부 장관은 한국을 튀르키예, 브라질과 함께 계란 수입을 늘릴 주요 국가 목록에 올리며 “한국에서 더 많은 계란을 수입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내 계란 한 알 평균 가격은 0.49달러(718원)에 달한다. 이에 비해 22일 기준 한국의 평균 계란 소매가격은 한 알당 218원으로 미국의 3분의 1 수준이다.
미국 측은 올 연말까지 매월 최대 컨테이너 300개(약 1억 알) 분량의 계란 수출을 요청했는데 물류비, 유통 마진 등을 떼고도 한국 농가에 떨어지는 수출 단가가 국내 판매가 대비 최고 30%가량 높아 농가들이 적극적으로 수출에 나설 전망이다. 실제로 전국 농가에 미국 수출 관련 문의가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관련 한국 정부와 생산자 단체인 산란계협회는 물가 관리, 수급 영향 등을 이유로 미국 수출 확대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미국 측이 요청하는 최대 수출량은 국내 월평균 계란 생산량의 15분의 1 수준이다. 모두 해외로 빠져나가면 유의미한 가격 변동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산란계협회측은 “미국 수출은 새로운 해외 거래처 확보차원에서 환영할 일”이라면서도 “수출이 크게 늘어 자칫 계란값이 오르면 한국 소비자들의 원망을 살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따라 미국으로의 수출은 매주 컨테이너 1~2개(33만~66만 알) 분량으로 제한할 것을 검토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