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아웃]

통일교는 1954년 서울에서 고(故) 문선명 교주가 창설했다. 공식 명칭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다. 통일교는 기독교적 색채를 띠면서도 혈통 복귀, 축복 결혼 등과 같은 독자적 교리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교리 문제로 한국 기독교계에선 이단으로 분류된다. 통일교는 정치·사회 활동에도 나섰다. 1960∼70년대에는 국제승공연합을 중심으로 반공 활동을 전개했다.

▶1954년 故 문선명 교주 창설

통일교가 한국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대규모 합동 결혼식이다. 수천 쌍, 수만 쌍이 동시에 결혼하는 장면은 사회적 논란을 낳았다. 1995년 잠실종합운동장에서 3만5천 쌍, 세계적으로 36만 쌍이 참여한 행사는 기네스북 기록으로 남아 있다. 교리상 합동 결혼식은 구원과 연결되는 의식이라고 한다. 국제 결혼도 추진했다. "인류가 한 가족"이라는 명분 아래 한국인과 일본인을 짝짓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 사회에서 결혼 상대를 찾기 어려운 이들이 접근하기도 했다. 하지만 강제성 논란과 결혼 생활의 불협화음은 후유증을 남겼다. 통일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된 배경이다.

▶교인 120만명 중 10% 국힘 당원

통일교는 최근 한국 정치권과의 유착 의혹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김건희 특검은 국민의힘 당원 명부를 압수 수색해 통일교 교인으로 추정되는 11만 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전체 교인 120만 명 가운데 약 10%가 국힘 당원이라는 계산이다. 단순한 통계인지, 조직적 개입인지가 쟁점이다. 특히 2023년 전당대회 전후 대규모 입당 정황이 수사 대상이다. 문자메시지와 관련자 진술 등 구체적 증거도 일부 드러난 상태다. 국민의힘은 "통계적으로 자연스러운 수치"라며 반발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정교유착의 전형"이라고 일축했다. 진실은 특검 수사에서 드러나겠지만, 당내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드러낸 사건임은 부인할 수 없다.

 ▶일본 정계에서도 스캔들 

앞서 통일교는 일본 정계에서도 스캔들을 야기한 바 있다. 자민당과의 관계가 논란이 됐다. 자민당 일부 의원이 통일교 행사에 참여하거나 후원 연설을 한 사실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2022년 아베 신조 전 총리가 피격으로 사망했을 때 범인의 동기와 통일교의 일본 내 활동이 맞물려 적잖은 파문을 일으켰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일본 사회는 '정치와 종교의 위험한 교착'이란 분석이 잇따랐다. 실제로 일본에서도 통일교는 종교적 활동을 넘어선 정치적 영향력 문제로 논란과 비판을 받고 있다.

 ▶아슬아슬한 정치-종교 경계

우리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하지만 종교가 조직적 힘을 통해 정당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면, 이는 민주주의의 왜곡이다. 특검은 앞으로 통일교의 정교유착에 관한 사실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해야 한다. 더욱이 이번 사건은 정치와 종교 간 경계 설정에 관해 공론장에서 숙의해야 할 과제를 남겼다. 민주주의 사회는 다원화한 가치를 존중해야 하지만, 특정 종교의 정치 관여는 차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