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화장품 수입국 한국 점유율 1위 기염... 중국 시장 대체 기회 주목 

K-뷰티의 미국 시장 점유가 거세다. 한국 화장품이 미국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화장품 수입국 가운데 한국이 점유율 1위를 기록하는 등 미국 화장품 시장이 한국 화장품 기업들에게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주목받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으로 미국 화장품 수입국 중 한국이 점유율 20.1%로 1위를 차지했다. 또 지난 4월에도 미국 화장품 수입국 중에서 한국(점유율 18.0%)이 프랑스(점유율 17.9%)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었다.

특히 최근 미국에서 양호한 성과를 보이는 한국 화장품들은 대부분 스킨케어 브랜드로, 미국을 포함한 서구권 국가는 아시아 국가보다 화장품 시장 내 스킨케어 비중이 낮기 때문에 미국 스킨케어 시장의 성장은 한국 화장품 기업들에게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다는 평가다. 

미국에서 ‘K-스킨케어’로 대표되는 한국 화장품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면서부터다.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미국의 많은 소비자들이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을 겪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깨끗한 피부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여기에 한국 문화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가성비가 좋은 한국 스킨케어 화장품에 대한 구매가 늘어났다.

실제 미국 화장품 수입국 중 한국 화장품의 점유율과 순위가 높아진 시점은 코로나19가 발생해 미국 소비자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기 시작한 2020년부터다.
올해 미국 화장품 수입국 가운데 한국이 점유율 20%를 넘어서 1위를 차지한 것은 아마존을 중심으로 한국의 인디, 중저가 화장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라네즈, 이니스프리, 미샤 등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은 7월에 진행된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 양호한 매출 성과를 기록했다.

미국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선미녀 등 특정 화장품 브랜드들이 아마존에서 높은 인기를 얻기 시작한 지난 4월에도 미국 화장품 수입국 중 한국이 1위(점유율 18.0%, 2위 프랑스 17.9%)를 차지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