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등록 13만4천명 중 9만4천명 사망, 단 4만명 생존…생존자 10명 중 7명이 80세 이상 

[뉴스진단]

2018년 8월 이후 남북간 상봉 행사 중단
정치적 문제 벗어난 해결방안 마련 시급
정부 실태조사 5년→2년으로 앞당기기로

이산가족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하루빨리 이산가족 대면 상봉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지난 2018년 8월 이후 상봉이 성사된 적이 없는 가운데 생존 이산가족 숫자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어 가족들의 애를 태우고 있다. 

이산가족 상봉이 중단된 2019년부터 올해 5월까지 상봉 신청자 중 사망자는 1만 5313명이다. 연간 사망자 수가 3400명이 넘는다는 것을 감안하면 2018년 8월 마지막 이산가족 상봉 이후 최소 1만 6000명 이상 사망했다. 

지난달 말 현재 통일부에 이산가족으로 등록된 인원은 누적 13만 3970명이며 그 중 9만 3871명이 숨져 4만 99명만 생존했다. 

이 가운데 29.8%(1만1966명)가 90세 이상이고, 80대도 35.9%(1만4410명)에 이른다. 다시말해 살아있는 이산가족 10명 중 거의 7명이 80세 이상으로 오래 기다릴 수없는 상황이라는 뜻이다. 이산가족 사망 인원은 한 달에 300명 내외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2018년 8월 제21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금강산에서 개최해 총 170가족 833명이 상봉했다. 이후 대면상봉 실적은 없다. 화상 상봉도 국내 화상상봉장 13개소 개보수·지방 상봉장 7개소를 증설했지만 정작 화상 상봉실적은 없다. 릫평양공동선언릮으로 화상 상봉 우선 추진 합의를 했지만 시설 개보수만 진행된 것이다. 
국회도 "단 한번이라도 더 가족들을 볼 수 있도록 정부에서 적극 나서야 한다"며 "하루 빨리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해야 하며 보다 현실성 있고 정치적 문제를 벗어난 이산가족 상봉·교류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주 지역도 별반 다름없다. 

재미한인이산가족 상봉취진위 관계자는 "생존자 대부분이 80세 이상의 고령자들"이라며 "그나마도 제대로 파악이 쉽지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통일부가 지난 10월 LA로 조사관을 파견, 한달간 북미지역 해외이산가족 실태조사를 벌였으나 큰 성과는 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한인 입양아 출신인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최근 LA를 찾아 남가주 지역 이산가족 및 탈북민들을 처음으로 면담하고 재미한인 이산가족 상봉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다각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같은 이산가족의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해 정부는 법정 실태조사를 2년 앞당겨 내년에 실시하기로했다.
통일부는 내년에 남북 이산가족 생사확인 실태조사를 진행한다. 현재는 이산가족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해 효과적인 이산가족 생사 확인과 교류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는 5년마다 실태조사를 하고 있는데 이를 앞당겨 내년에 진행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김주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