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 단속 심해지고 속는 사람 줄어들자 해외로 방향 전환"
[뉴스포커스]
주미대사관 사칭 '유의 안내문' 발표 주의 당부
한국경찰청 등에서 전달사항 있는 것처럼 속여개인 정보 확보및 송금 유도 등 범죄 수법 진화
한국 행정 절차에 익숙치 않은 시니어들 주타겟
미주 한인들을 노린 보이스피싱 사기행각이 기승을 부리자 주미대사관은 '주미국대사관 사칭 보이스피싱 유의' 안내문을 발표하고 한인들의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특히 최근에는 가짜 구속영장과 가짜 조회 웹사이트까지 등장하는 등 사기행각이 한층 더 정교해지고 교묘해지고 있어 주의가 한층 더 요구되고 있다.
주미대사관은 지난해 12월 보이스피싱 사기 주의 안내를 공지한데 이어 이번에 재차 '주미국대사관 사칭 보이스피싱 유의'안내문을 발표, 사안의 심각성을 드러내주고 있다.
주미대사관의 안내문에 따르면 발신 번호를 조작해 주미국대사관을 사칭하는 금융사기 보이스피싱 또는 이메일 피싱 범죄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미대사관은 "대사관 또는 영사관 직원을 사칭해 한국 경찰청 또는 법무부로부터 전화 수신인에게 전달할 사항이 있는 것처럼 속이는 행위, 전화 수신인에게 범죄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며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유도해 개인 정보를 확보하고 송금을 유도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범죄 수법이 진화 중"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한국 대검찰청이나 경찰청 등을 사칭한 피싱 사기는 보통 전화(Smishing, Voice Phishing), 문자(SMS), 이메일, 메신저 등을 이용해 피해자를 속여 금전 또는 개인정보를 빼내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보이스 피싱은 대검찰청, 경찰, 검찰청 직원인 척하며 "당신이 범죄에 연루되었다"또는 "계좌가 범죄에 이용되었다"는 식으로 협박을 해 공포심을 유발한 후 "계좌가 동결될 예정이니 안전한 계좌로 돈을 이체하라"고 요구하기도 한다.
또한 수사관이나 검찰 직원을 보내겠다고 말하는가 하면 직원을 보내는 대신 전화로 대답을 요구하면서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계좌, 공인인증서, OTP번호 등)를 요구해 돈을 가로채는 수법을 사용한다.
특히 한인 시니어들의 경우 온라인 이용과 행정 절차 등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사기 피해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한국에서 보이스피싱 단속도 심해지고 사기에 속는 사람도 줄어들면서 사기범들이 해외 한인, 특히 나이든 시니어들을 주로 노려 범행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전화로는 어떠한 개인정보도 알려줘서는 안된다"고 당부했다.
주미대사관은 한국 뿐 아니라 미국 공공기관 등에서는 전화 및 온라인으로 직접 개인 정보 등을 확인하거나 요구하지 않는 만큼 절대 당황하지 말고 이러한 요구에 절대 응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또한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전화를 수신하시거나 피해를 당한 경우 신속히 거주지 관할 경찰서 또는 미연방통신위원회(FCC)에 신고할 것을 강조했다. 김주환 기자
■미주지역 보이스피싱 사례
▶한국 대검찰청 사칭:"베트남에서 검거된 마약조직과 관련돼 당신의 이름이 나왔으니 이를 확인해야 한다"며 개인정보 요구.
▶주미대사관 사칭:"한국 검찰청에 고소된 사건과 관련해 당신의 여권 도용이 발견됐고 범죄에 연루됐다"며 웹사이트에 접속해 조회를 하라고 요구.
▶사법기관 사칭:"당신 명의 계좌를 통해 마약범죄 수익금이 세탁되었다"며 개인정보·금전편취.
▶세관 사칭:불특정 다수에게 자동응답 전화를 발신, "피해자 앞으로 송달된 국제우편에서 마약이 검출됐다"며 금전 편취.
▶피해자의 음성을 모방한 후 피해자의 부모에게 전화해 "교통사고가 발생해 보석금이 필요하다"며 금전 편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