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S 조사서 19% 기록…2020년 9월 당명 개정 이후 처음 10%대 추락, 민주당과 26%차 굴욕

70대 이상서도 민주당에 지지율 뒤져
TK도 오차내…중도층에선 더 큰 차이
혁신 부재·특검 쇼크·무기력등 '삼재'
"당 존립 자체 위태, 재기 불능 상황"

국민의힘이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기던 지지율 20%마저 무너졌다.  2020년 9월 당명 개정 이후 처음으로 10%대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반 갈등에 이어 6·3 대선 패배 이후 당 혁신을 둘러싸고 연일 내홍을 벌이면서 당내에선 “당의 존립 자체가 위태로운 상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발표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국민의힘의 정당 지지율은 19%를 기록했다. 7~9일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한 이번 조사에서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45%)에 26%포인트 차이로 밀렸다. 양당 격차는 국민의힘(19%)과 개혁신당(5%) 격차보다 컸다.
2020년 7월 NBS가 시작된 이래 국민의힘 지지율이 20% 아래로 떨어진 건 처음이다. 이전까진 2020년 총선 참패 뒤 코너에 몰렸던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이 11월 3주차 조사에서 기록한 20%가 최저치였다. 12·3 비상계엄 뒤인 12월 3주차 NBS에서도 국민의힘 지지율은 26%로 지금보다 높았다.
세부 지표는 국민의힘에게 더욱 암울했다. 모든 연령대에서 민주당에 밀렸고, 특히 보수세가 강한 70대 이상에서도 민주당 42%, 국민의힘 29%로 부진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TK)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열세를 보였고, TK 마저도 민주당 28%, 국민의힘 31%로 엇비슷했다. 국민의힘 영남지역 의원은 “이 정도 수치면 TK를 텃밭이라고 부르기도 민망하다”고 했다. 반면에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65%로 부정 평가(23%)를 크게 웃돌았다.
이른바 ‘3대 특검’ 수사가 본격화되면 국민의힘 지지율이 더 떨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2017년 지지율이 한 자리로 내려갔던 상황(이 반복되는 것)이 전혀 생각하기 어려운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열린 2017년 대선 직후 국민의힘의 전신 자유한국당의 지지율은 8%까지 떨어진 바 있다.
국민의힘 지지율의 추락 원인을 두고 정치권 안팎에선 ▶혁신 부재 ▶특검 쇼크 ▶무기력 고착화라는, ‘삼재(三災)’가 거론된다.
대선 뒤 한 달여 간 변변찮은 쇄신안 하나 내놓지 못하는 국민의힘의 모습이 지지율에 치명상 줬다는 평가다. 지난 2일 안철수 의원이 혁신위원장에 내정됐지만, ‘쌍권’(권성동·권영세 의원)에 대한 인적 청산을 두고 지도부와 충돌한 끝에 사퇴하면서 갈등의 골만 노출했다. 한 정치컨설턴트는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키를 잡았지만, 판을 확실히 흔들어 혁신을 추동할 동력이 크지 않은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8월 전당대회 준비 착수
'친윤vs친한' 구도 관측

한편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빠르면 8월 중순, 늦어도 8월 말 전당대회 개최를 목표로 준비 중"이라고 9일 밝혔다. '8월 전대'가 가시화하면서 당권 경쟁도 점차 가열되는 분위기다.
조경태·안철수 의원과 장성민 전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양향자 전 의원은 일찌감치 당권 도전 의사를 밝혔다. 잠재적 후보군으로는 지난 대선 당 후보였던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동훈 전 대표, 나경원 의원, 장동혁 의원 등이 거론된다. 이번 전대는 당권 주자들의 면면에 비춰 옛 친윤(친윤석열)계로 일컬어지는 구(舊)주류와 친한(친한동훈)계를 비롯한 비주류 간 대결 구도 속에서 치러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