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8월호에 가상 여성 모델 릮게스릫 광고 게재 논란 가중

"사람 비교 불쾌" 불매 운동도
제작사 "시간·비용 절감 효율"

뉴시스에 따르면, 패션 잡지 ‘보그’ 미국판 2025년 8월호에 인공지능(AI)으로 생성된 가상의 여성 모델(사진)이 등장한 광고가 게재되면서 패션업계와 소비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해당 광고는 미국 의류 브랜드 게스(Guess)의 최신 캠페인으로, 광고 하단에 AI 모델임을 명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광고 이미지에는 금발의 백인 여성 모델이 줄무늬 원피스와 가방을 든 채 환하게 웃고 있는 모습이 담겼다. 얼핏 보면 일반적인 패션 화보처럼 보이지만, 해당 인물이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가상의 모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자 SNS를 중심으로 반발이 이어졌다. 일부 소비자들은 현실의 모델들이 다양성과 대표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실존하지 않는 AI 모델이 대형 잡지에 등장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특히 틱톡에는 “이젠 실존하지도 않는 사람과 비교해야 하냐”는 댓글이 6만7000개 이상의 ‘좋아요’를 얻으며 공감을 받았다. 일부는 보그와 게스를 상대로 불매 운동을 제안하기도 했다.
광고를 제작한 AI 마케팅 회사 세라핀 발로라의 공동 창립자인 발렌티나 곤잘레스와 안드레아 페트레스쿠는 논란이 과장됐다고 주장했다. 페트레스쿠는 “우리는 여전히 실제 모델도 고용하고 있다”며 “AI 이미지는 실존 모델의 포즈와 의상 핏을 기반으로 생성된다”고 설명했다.
제작 과정에서는 실제 모델이 게스 의상을 입고 촬영에 참여했으며,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AI 이미지를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페트레스쿠는 “AI를 활용하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브랜드 입장에서는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AI 모델은 게스뿐 아니라 망고(Mango), 리바이스(Levi’s) 등 여러 글로벌 브랜드에서 이미 도입됐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단순히 모델 산업뿐 아니라, 사진작가, 메이크업 아티스트 등 패션 생태계 전반의 일자리를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또한 AI 모델이 대체로 백인 중심의 미적 기준을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미의 다양성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