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트럼프 오늘 통상·안보 동맹현안 포괄 논의…美, 농축산물 시장 개방 고강도 압박

3500억불 대미 투자액 증액 방안 요구도
한국 정부 고위급 이례적인 집결 총력전
"방미 성과, 집권초 국정동력 좌우" 분석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25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운명의 정상회담'을 하게 된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단순한 외교 이벤트를 넘어, 그야말로 국운이 걸린 회담이 될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나아가 이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열리는 이번 한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따라 이재명 정부의 초반 국정운영 동력 역시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정상회담 직전 대미(對美) 직접 투자 증액과 쌀, 소고기 등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한 고강도 압박에 나서면서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커졌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긴장감까지 흐르고 있다. 미국은 또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액 자체를 늘리는 방안도 요구하며 정상회담 압박 강도를 한층 더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재명 정부는 조현 외교부 장관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등 외교·산업·통상 수장에 이어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까지 미국으로 출국하면서 총력 대응에 나섰다. 대통령실은 지난달 관세 협상 극적 합의로 봉합된 통상 현안을 정상회담을 앞두고 다시 꺼내든 트럼프 행정부의 무리한 요구에 선을 그으면서도 미국에 대한 설득을 이어갈 방침이다. 일각에선 릫쉽지않은 정상회담릮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지난달 말 타결된 관세 협상 후속 조처와 함께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비롯한 동맹 현대화와 국방비 인상, 북핵 대응 등 안보 현안이 의제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미국이 ‘동맹 현대화’라는 개념 속에서 한국의 국방비 증액과 주한미군 규모와 역할 변화 등 전략적 유연성 확대를 제시하고 있는 가운데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내밀 '안보 청구서'에 주목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중국 및 북한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주한미군 주둔 비용인 분담금에 대한 한국의 재정적 기여를 요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마친 뒤 같은 날 오후 한미 양국 재계의 주요 인사들과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를 하고 투자를 포함해 양국 경제협력을 도모한다.
한국에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 회장(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구광모 LG 회장 등 4대그룹 총수를 포함해 주요 기업인이'팀 코리아'의 민간 외교 사절단으로 나섰다.
26일 아침에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헌화한 뒤 필라델피아로 이동, 한화오션이 인수한 필리조선소를 시찰한다. 관세 협상의 지렛대가 된 한미 조선업 협력의 상징적인 장소를 방문하는 것이다. 조선소 방문 전에는 우리나라 대통령으로서는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26년 만에 서재필 기념관을 찾는다. 이 대통령은 28일 새벽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하면서 2박3일간의 방미일정을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