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전장에 총 1만4천여명 투입 4천여명 사상…'총알받이'파병 대신 군사·경제 이익 챙겨

[북한]

6개월간 상당 희생 불구 양국 '혈맹' 진화
김정은표 치적사업 재원 확보 경제 동아줄
드론에 고전했지만 '현대전 경험' 위협적

북한이 러시아를 돕기 위해 우크라이나전에 병력을 보낸 지 6개월이 지났다.
북한은 지난해 6월 러시아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 뒤 이를 근거로 불과 4개월 만인 그해 10월 1만명이 넘는 특수부대를 러시아로 파병했다.
북한군은 격전지인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에 배치됐고, 수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훈련인 줄 알았다는 북한군 포로의 증언은 충격적이다.
북한과 러시아 모두 파병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가운데 자신들이 어디로 향하는지조차 제대로 알지 못했던 애꿎은 북한 청년들만 이역만리에서 목숨을 잃고 있는 것이다.
북한 김정은 정권은 이들이 흘린 피의 대가로 안보·경제 지원을 챙기고 있다.

◇도착 후에야 참전 알아 

합동참모본부는 지난해 10월 1차로 투입된 북한군 1만1천여 명 중 약 4천 명이 죽거나 다친 것으로 파악했다.
드론이 동원되는 현대전에 대한 지식이 없어 전선 투입 초반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군 포로들도 동료들이 무인기에 대거 희생됐다고 전했다.
파병 북한군이 사실상 '총알받이' 신세였다는 건 북한군 포로의 증언을 통해 확인된다. 이들은 쿠르스크에 도착한 뒤에야 전투 참여 사실을 알게 됐다. 
드론 등 현대전에 대한 준비도 사실상 없었다. 초반에 크게 고전하던 북한군은 서서히 드론전에 적응했고 올해 초 3천여명의 증원 전력이 추가 투입된 것과 맞물려 최근에는 전장에서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북한군이 드론전을 비롯한 현대전 경험을 쌓은 것은 우리에게 상당한 위협이 될 수 있는 대목이다.

◇정상회담 등 밀착 강화

북러는 파병을 계기로 '혈맹' 수준으로 밀착하고 있다. 외교뿐 아니라 경제, 문화, 보건 등 여러 방면에서 고위급 교류도 다방면으로 진행하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정상회담도 양국을 오가며 최근 2년간 연속으로 열렸다. 올해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과 회담을 위해 모스크바를 방문할 가능성도 크다.
러시아는 북한에 군사·경제적으로 상당한 대가를 지급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가 대북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 경제에 동아줄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은 전국 각지에 공장을 짓고 있고 오랫동안 진척이 없던 평양종합병원이나 원산 갈마해안관광지구 오픈을 눈앞에 두고 있는 등 '김정은표 치적사업'에 최근 속도를 내고 있는데 그 배경엔 러시아의 도움이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