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30년전부터 선진국 대우

1996년 12월, 대한민국은 세계 29번째로 '선진국 클럽'이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이 됐다. 일본에 이어 아시아 국가 중 두번째. 2021년에는 유엔무역개발회의가 한국의 지위를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바꿨다.
최근 객관적 경제 지표를 보면 더더욱 한국이 선진국이라는 확신을 갖게 한다. GDP 세계 9위(2020년), 인구 5천만이 넘는 나라 중 1인당 국민총소득 6위를 찍었다. 이쯤이면 선진국을 넘어 강대국 소리 들어도 이상하지 않다.

►국민 53% "선진국 아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 국민 중 절반 이상이 한국은 선진국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복 80년을 맞아 한 신문사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은 선진국이다'는 응답은 35%, '선진국이 아니다'는 응답은 53%였다. 특히 50·60 세대에서 부정 응답 비율이 유일하게 60%를 넘겼다. 전쟁의 잿더미 위에서 한강의 기적을 만든 부모들 덕에 가장 많은 경제적 혜택을 누린 세대의 인식이라는 점에서 아이러니하다.

►암담한 50·60대 정치인 인식

정치인들의 인식은 더욱 더디다. 한국 정치의 주류인 86 운동권 그룹이 어느덧 만 60세 환갑을 넘었다. 이번에 거대 여당의 수장이 된 정청래 민주당 대표가 만으로 환갑이고, 86그룹의 상징이자 마지막 리더격인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내년이면 환갑이다. 그들을 신군부 퇴진 시위로 이끈 김부겸 전 총리와 유시민 전 복지부 장관은 칠순을 바라보는 나이다. 이젠 86을 586에서 686으로 부르는 게 맞다.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달라지고 있는데, 50·60의 정서는 그 변화를 따라가기에도 벅찬 모습이다. 개도국의 반항아로서 겪었던 진통이 뇌리에 박힌 탓이라 하지만, 경제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자식들과 정쟁으로 날을 지새우는 정치권의 모습을 보면서 '선진국'이란 평가에 동의하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다시 정권 쥔 '686' 세대 분발해야

한국은 지표상으로는 분명 선진국이지만, 정치는 80년대 이념 투쟁과 지역대결 구도에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낡디낡은 정치 체제가 소득 양극화와 저출산, 세대갈등을 유발하며 나라의 미래를 갈수록 어둡게 만들고 있다. 50·60 정치인, 특히 다시 국정을 운영하게 된 686의 분발이 필요하다. 그들이 다시 용기를 내준다면 한국이 여전히 개도국에 머물러 있다는 심리도 바뀔 게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