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계란 도매가 40% 급락, 소매가는?

    더즌당 8. 58불→4. 83불. 천정부지로 치솟던 계란 도매가격이 크게 내렸다.  . 농산물 가격을 추적하는 엑스파나에 따르면 지난 14일 현재 계란 도매 가격은 더즌당 4. 83달러로,  2월 28일 최고치인 더즌당 8. 58달러에서 무려 44%나 하락했다.

  • 미국서 그많은 소주를 누가 다 마시나?

    2024년 소주류(일반소주, 과일소주) 수출액이 전년대비 3. 9% 늘며 최초 2억 달러를 달성했다. 특히 미국이 전체 한국 소주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며 1위 국가로 올라섰다. 한류로 우리 술에 관심이 커진 가운데, 코로나로 인한 순한 술 유행을 제때 공략한 다양한 케이(K)-소주가 미국 등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원자로 설계 韓 유출시도 적발"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연구소 직원이 수출이 금지된 원자로 설계도를 소지하고 한국으로 향하려다 적발돼 해고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미국이 최근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을 두고 우리정부는 외교정책과 무관한 보안 문제 때문이라고 해명했는데, 이 사건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 미국 증시 트럼프발 먹구름…"기업실적 전망도 금가기 시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미 증시가 최근 조정받은 가운데, 월가에서 주가지수에 대한 기대치를 낮춰잡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와 야데니리서치 등 적어도 2곳의 월가 금융기관이 최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의 연말 목표가를 하향 조정했다.

  • 미국 증시 조정에 '소비 동력' 부자들도 지갑 닫나

    미국 증시 조정이 미국 경제 성장의 한 축인 소비지출을 위협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비지출이 주식 시장 의존도가 높은 부유층에 크게 의존한다면서 이같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지난주에 고점 대비 10% 넘게 하락하며 기술적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 테무·쉬인 공세에…포에버21 미국서 파산보호 신청

    패스트패션 소매업체 포에버21의 미국 운영사가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내 포에버21 운영사(F21 OpCo)와 일부 미국 자회사는 델라웨어주 파산법원에 파산보호(챕터 11) 절차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 '생성AI 탓 인력 감축' 가장 많은 직종은…서비스·물류·HR

    실제 회사 현장에서 생성 인공지능(AI) 때문에 조만간 일자리가 줄 것이란 관측이 가장 많은 직종은 서비스, 물류, 인사관리(HR)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7일 AI 및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작년 7월 세계 각국의 기업 관계자 1천400여명에게 생성 AI의 활용 현황을 물은 글로벌 설문 조사의 결과를 최근 공개했다.

  • '선 관세폭탄, 후 무역질서 재편' 예고한 미…한국도 사정권

    미국이 4월 2일 예고한 세계 주요국 대상 상호 관세를 우선 실행하고 나서 이를 지렛대 삼아 상대방을 압박, 자국에 유리한 방식으로 양자 무역 질서를 재편하겠다고 예고했다. '선 관세 폭탄, 후 협상' 기조를 구체화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 金값 달걀 '밀수' 급증, "잘못 먹고 탈날라"

    미국에서 최근 몇 달 새 달걀값이 급등하면서 남부 접경지에서 검역을 거치지 않은 달걀 밀수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 보도했다. WSJ이 인용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 자료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 사무소는 지난해 10월 이후 멕시코에서 들어오는 입국자로부터 달걀을 압수한 건수가 전년 대비 15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 남가주 고용시장 '먹구름'

    1월 실업률 5. 4% 상승. 남가주 고용 시장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45개월 만에 처음으로 일자리가 줄어드는 고용 하락세를 보여서다. 고물가와 고금리 여파에 트럼프발 경기 불확실성이 더해진 것이 남가주 고용 하락세를 촉발시킨 요인들로 꼽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