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길원의 헬스노트]
눈썹·눈·코 등 안면근육 움직임 두드러져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대한민국에서 우울증은 노년기 대표 질환이 된 지 오래다. 한국의 노인 우울증 유병률은 75세 이상에서 4.6%∼9.3%에 머물지만 85세 이상에서는 이 비율이 27%에 달한다.
노인 우울증이 무서운 건 갑작스러운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직장에서의 은퇴와 경제 능력 상실, 사회적 고립, 배우자 사망 등에서 비롯된 우울 증상이 고혈압, 심장병 등의 순환기 질환 또는 치매와 같은 정신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거나 자살 등의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은 노인 우울증을 조기에 가려내는 게 어렵다고 말한다.
노인이 말하는 주관적인 우울감만으로 우울증을 진단하기에는 증상이 정형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은 데다, 기억력 저하 등의 이유로 우울 증상을 정확히 말하지 않거나 다른 이상 증상으로 호소하는 '가면성 우울'이 흔한 탓이다. 따라서 노인 우울증을 조기에 정확히 가려내려면 자녀를 비롯한 가족의 세심한 관찰이 필수적이다.
대표적인 우울증 증상으로는 온몸이 아프다고 하면서도 원인이 불확실한 경우가 꼽힌다. 반복적인 병원 진료에서 뚜렷한 몸의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데도 소화가 안 된다, 머리가 아프다, 가슴이 답답하다 등 주로 내과적인 신체 증상을 계속 호소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밖에 뚜렷한 원인 없이 불안해하고 안절부절못하는 증상, 예전과 달리 집중하지 못하고 기억력이 안 좋아진 경우, 잠을 자다가 자주 깨거나 과도하게 낮잠을 자는 경우 등도 우울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최근에는 노인들의 입술과 눈썹 등 얼굴 근육 움직임을 잘 관찰하면 우울증 여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됐다.
30일 국제학술지 센서(Sensors) 최신호에 따르면 서울대병원이 운영하는 서울시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은 표정에서 포착되는 미묘한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감정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인지 장애가 없는 노인 59명(평균 나이 72세, 남 24명, 여 35명)에게 적용한 결과 이런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연구 참여 노인들을 대상으로 각자 카메라 앞에서 행복감, 두려움, 놀람, 분노, 슬픔, 혐오 등의 감정을 표현토록 한 뒤 6편의 단편 영화를 보여주고, 이에 따라 나타나는 얼굴의 자연스러운 감정 변화를 영상에 담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이 결과 우울증 증상이 심한 노인은 증상이 경미하거나 증상이 없는 노인에 견줘 카메라 포즈 영상에서 눈 깜빡임, 굳게 다문 입술 등과 관련된 안면 근육의 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이런 특징은 감정적으로 슬픔과 관련이 컸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