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1위 드비어스 재고 20억달러
중국 수요 감소, 인공 다이아 경쟁

'사치의 끝판왕'으로 불리던 다이아몬드가 수요 감소로 인해 역대급 재고가 쌓이고 있다.
세계 2위 다이아몬드 시장인 중국에서 결혼이 줄면서 수요가 많이 감소한 데다 실험실에서 만든 인공다이아몬드(랩 다이아몬드)와의 경쟁도 심화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업체인 드비어스의 올해 다이아몬드 재고량이 20억달러에 달해 지난 200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25일 보도했다.
드비어스 최고경영자(CEO) 알 쿡은 "올해는 다이아몬드 원석 판매에서 좋지 않은 한 해였다"고 털어놨다.
코로나 팬데믹 시절부터 수요 감소가 이어지자 드비어스는 다이아몬드 원석 생산량을 작년보다 약 20% 줄였고, 이달 경매에서는 중개상들에게 파는 도매가격도 인하했다.
19세기 후반에 설립된 드비어스는 현재 직원이 2만명이 달하며 800억달러 규모의 다이아몬드 시장에서 독보적인 업체다.
경쟁사인 러시아의 알로사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올해 주요 7개국(G7)이 러시아 다이아몬드에 제재를 부과하면서 타격을 받고 있다.
다이아몬드 수요 하락에는 중국의 결혼 감소가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중국에서는 인구구조 변화와 취업난 등으로 혼인이 가파르게 감소하면서 결혼반지용으로 많이 쓰이는 다이아몬드 수요도 급감했다.
중국의 연간 혼인신고 건수는 2013년 1천346만건에 달했으나, 2014년부터 9년 연속 감소해 2022년 683만건을 기록, 릫7백만쌍릮 선이 무너졌다.
지난해 코로나19 기간 미뤘던 결혼이 몰리며 768만건으로 증가했으나 올해 660만건 이하로 다시 떨어졌다.
천연 다이아몬드 가격의 20분의 1에 불과한 인공다이아몬드가 인기를 끄는 것도 타격이다.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시장으로, 업계 매출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미국에서 인공다이아몬드의 인기가 특히 높다.
드비어스는 판매를 늘리기 위해 20세기 후반의 유명 광고 캠페인을 연상시키는 릫천연 다이아몬드릮 마케팅을 10월부터 시작했다.
현재 40개인 전 세계 매장도 1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