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강경 이민정책 美 떠나는 외국 출신 연구자·유학생 잡기위한 세계 각국 경쟁 치열

[뉴스인뉴스]

세계 최상위급 연구·과학자'메카'옛말
美 과학자 4명중 3명 꼴 해외이주 고려
EU, 캐나다 등 각종 유인책 예산 증액
한국도  '재미 연구자' 겨냥 지원 논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각종 연구 예산 삭감과 공공 연구소 해체로 미국을 떠나려는 과학 인재들이 급증하면서 세계 각국 정부가 이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유인책을 경쟁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14일 이런 세계적인 흐름을 조명하면서 "수십년간 미국과 경쟁하기 어려웠던 다른 나라들이 상황을 역전시킬 기회를 잡고 있다"고 전했다.
그동안 미국은 세계 최상위급 연구자와 과학자들의 '메카'로 여겨졌다.
어느 분야에서든 연구 예산은 더 많았고, 연구자들에게 주는 급여는 더 높았으며, 연구실 시설과 장비도 더 우수했다.
지난해 미국은 연구·개발(R&D)에 거의 1조달러 예산을 지출했다. 특히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기초 연구 분야에 투입된 비용 가운데 정부 지출이 약 40%를 차지했다.
하지만 올해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기존 정책이 뒤집히면서 과학 연구소와 대학에 지원하는 수십억달러의 연방 예산이 삭감되고 연구 대상 분야가 제한되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강경한 이민정책으로 외국 출신의 연구자와 유학생들을 내쫓고 있다.
과학전문지 '네이처'가 지난 3월 미국의 과학자 1천6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4명 중 3명꼴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때문에 미국을 떠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런 분위기를 감지한 미국 이외 주요국의 학계와 연구단체들은 미국에서 유출되는 인재들을 끌어들일 방안을 마련하라고 자국 정부에 촉구하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지난 8일 성명에서 "지금은 세기에 한 번 있을 만한 인재 유치 기회"라며 호주 정부에 즉각적인 행동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유럽연합(EU)은 지난 5일 유럽 과학 콘퍼런스에서 '유럽을 선택하세요'(Choose Europe)로 명명한 과학연구 종합지원 계획을 내놨다. 2027년까지 연구 지원 예산으로 5억유로를 투입하고, 유럽으로 이주한 연구자에게 지급하는 보조금 규모를 더 확대하는 계획 등이 포함됐다.
이에 앞서 프랑스 정부는 지난달 중순 연구자 유치를 위한 플랫폼 '과학을 위해 프랑스를 선택하세요'(Choose France for Science)를 개설하고, 프랑스 내 대학과 그랑제콜(고등교육전문기관), 연구기관들이 해외 과학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캐나다, 영국, 스페인, 노르웨이, 포르투칼 정부 등도 높은 연봉외에 연구비와 이주비 등 대대적인 지원책을 제시하며 인재들을 손짓하고 있다. 
NYT는 이 밖에도 한국을 포함해 호주, 중국 등이 정부 차원에서 미국에 있는 연구자와 과학자, 학생들을 겨냥한 지원 프로그램 마련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