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발표문 항상 있는 건 아냐…공감대 토대 추가 협의하면 마무리될 것"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8일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안보와 관련해 등장한 '피스메이커·페이스메이커' 표현이 이재명 대통령의 아이디어였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이날 JTBC 인터뷰에서 "사전에 여러 곳에서 의견을 내고 종합한 것인데, 결국 대통령께서 그 말씀을 하셨기 때문에 대통령님 아이디어라고 봐도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문제를 실제로 풀 수 있는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뿐이라며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자칫 공격적인 분위기로 흘러갈 뻔한 정상회담 분위기를 부드럽게 이끈 동시에 이 대통령의 현실주의적이고 실용주의적인 한반도 평화 구축 전략을 드러낸 개념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어 위 실장은 정상회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에서 '숙청, 혁명' 등 거친 단어를 꺼냈던 것과 관련해서는 "트럼프 대통령 본인이 직접 오해일 것이라고 말씀하셨기에 더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표현이 등장한 배경에 대해서는 "몇 가지 짐작할 수 있지만 확실치 않아서 말하기 어렵다"며 "사안 자체가 그리 강한 근거를 갖기 어려웠다"고 언급했다.
실제 회담 분위기를 두고는 "예상했던 것보다 더 부드러웠고, 이후 오찬에서는 더 격의 없고 허심탄회했다"며 "(이 대통령의) 대처가 처음부터 좋았다"고 했다.
결과적으로 공동 합의문이 도출되지 않은 데 대해서는 "공동발표문이 항상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정상 간 논의 내용은 상당 부분 생중계됐고, 나머지는 언론 브리핑을 통해 양국 국민에게 효과적으로 설명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물론 공동발표문도 한때는 협의했다"며 "어떤 분야는 더 많은 의견 접근이 있었고 어느 분야는 덜했는데, 진전이 적은 영역에서 쟁점을 얼마나 상세히 적을지 등 여러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국 다 문건을 만들어내기까지 이르지는 못했지만 많은 공감대가 있었다"며 "그런 공감대를 바탕으로 추가 협의를 하면 마무리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황윤기 기자 sncwo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