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프레시 11월1일부터 중단…한인 등 150만명 LA주민 '불안'
저소득 한인들 '생존 비상' 걸려
"우물 말라버렸다" 재원고갈 인정
푸드뱅크 대안… 인력·물자 부족
뉴섬 주지사, 재원 투입 등 대응
연방정부 셧다운이 장기화되면서 결국 저소득층을 위한 푸드스탬프라 불리는 '보충영양지원프로그램(SNAP)'이 11월1일부터 중단된다. 이에 따라 한인을 비롯한 저소득층 주민들이 큰 위기를 맞게 됐다.
캘리포니아주에선 '캘프레시(CalFresh)'로 부르는 이 프로그램 지원 중단에 맞춰 주정부와 지역 푸드뱅크 등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SNAP에 의존하는 주민은 전국적으로 4200만명에 달한다. 캘프레시 지원을 받는 가주민은 550만명, LA카운티 주민은 150만명 정도에 이른다.
연방 농무부(USDA)는 웹사이트에서 릫우물이 말라버렸다릮는 표현을 통해 SNAP 중단 결정이 재원의 고갈에 따른 불가피한 것임을 강조했다. 연방의회가 푸드 지원프로그램을 포함한 예산안 합의에 실패한 여파다.
저소득층 식품 보조 프로그램은 연방정부가 매년 1000억 달러 규모의 예산을 각 주에 배분하고, 주정부가 집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농무부는 50억달러의 비상자금을 활용할 계획을 갖고 있었지만 계획이 철회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사태 해결을 위해 비상자금을 쓰는 조치가 아니라 의회가 셧다운을 끝내거나 임시예산을 승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SNAP 혜택을 받아온 저소득층 주민들은 식품 보조프로그램 지원이 끊기면 지역별 푸드뱅크에 의존해야 하는 형편이다. 그러나 푸드뱅크도 셧다운이 계속 이어지면 쇄도하는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인력도 부족하고, 식품 등 물자도 빠른 시일 내에 동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속적인 기부와 자원봉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개빈 뉴섬 주지사는 푸드뱅크 지원을 위해 주 방위군을 동원해 식료품 운반과 배급을 돕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주정부는 가주 전역의 푸드뱅크를 위해 총 8000만달러의 재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같은 비상대책도 셧다운이 계속 길어지면 소용없다. 의회가 예산안을 통과시키거나 임시예산안을 처리해야만 해결되는 문제다.
한편 11월부터 식료품 전용 구매카드(EBT)에 입금은 안되지만 잔액이 있는 경우 11월에도 사용할 수 있다. 셧다운이 해결되면 11월분 혜택은 소급 적용될 전망이다. 가주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월소득 기준 1인 가구 2610달러 또는 4인 가구 5360달러 이하일 경우 캘프레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